재미있는 상식

[스크랩] 조선시대 관직 총람 경상감영. 안동대도호부 관원 등

새언덕 2014. 5. 8. 16:37

조선시대 관직 총람   (부: 경상감영. 안동대도호부)


조선시대 품계. 산직. 영직에 대하여.


                                                                                          인동 장달수 편

 

참고도서

1. 경국대전

2. 대전회통

3. 증보문헌비고

4. 신증동국여지승람

5. 여지도서

6. 만기요람

7. 연려실기술

8. 기타 논문


조선시대의 품계(品階)는 고려 때와 마찬가지로 정1품부터 종9품까지 18품으로 되어 있었다. 그러나 조선시대에는 종6품 이상은 쌍계(雙階)였고 정7품 이하는 단계(單階)여서, 모두 30계(階)로 구성되어 있었다.


다시 말해서, 품계의 구분은 1품에서 9품에 이르기까지 9등급으로 나누어지고, 다시 각 등급마다 정(正)과 종(從)의 구분을 두어 18등급으로 나누어진다.


여기서 또다시 정1품에서 종6품까지를 상계(上階)와 하계(下階)로 세분하여 24등급으로 나눔으로써 정7품에서 종9품까지의 6등급을 합하여 총 30계(階)의 등급으로 구성된다.


거기에다 다시


(1) 당상(堂上)(정1품상계 - 정3품 상계 통정대부(文散階)(문) 절충장군(武散階)) (무),

(2) 당하(堂下)(정3품 하계 통훈대부(문). 어모장군(무) - 종4품 하계 조봉대부(문)

    선략장군(무)),

(3) 참상(參上)(정5품 상계 통덕랑(문)/과의교위(무) - 종6품 하계 선무랑(문).

   병절교위(무)),

(4) 참하(參下)(정7품 무공랑(문).적순교위(무)) -

   종9품 장사랑(문)/전력부위(무))로 구분하여 신분상의 대우에 많은 차이를 두었다.


관직의 정식명칭은 계(階)-사(司)-직(職)의 순서로 표시하는 것이 원칙이다. 階는 위에서 언급한 대로 계급이고 司는 근무처를 말하고 職은 보직(補職)을 가리킨다.


예를 들면 오늘날의 국무총리에 해당되는 영의정은 “대광보국숭록대부(大匡輔國崇祿大夫) 의정부(議政府) 영의정(領議政)”이라고 표시한다.


그런데 여러 성씨들의 족보에 보면 司(근무처) 표시 없이 階(계급)만 표시된 경우가 많이 나오는데 이런 경우 실제 벼슬을 한 것이 아닌 경우도 많다. 즉 직사(職司)(실제 근무처)는 없고 직함(職銜)만 있는 허직(虛職)인 경우이다.


조선시대의 허직(虛職)은 크게 증직(贈職)과 산직(散職)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산직은 다시 산관직(散官職), 영직(影職), 노인직(老人職) 등으로 구분된다. 그 대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증직(贈職): 공신, 충신, 효자나 학덕이 높은 사람 등이 죽은 뒤에 관직을 주거나 품계를 올려주던 일. 또는 자손의 관직에 따라 죽은 그의 3대 조상(부, 조, 증조)에게 증직하기도 했는데 이를 추증(追贈)이라고 한다.


2. 산직(散職): 근무처는 없고 이름만 있는 관직의 통칭. 고려시대의 검교직(檢校職), 동정직(同正職), 첨설직(添設職), 조선시대의 산관직(散官職), 영직(影職), 노인직(老人職) 등이 산직에 해당된다.


산직의 발달은, 사대부 층의 관직 획득 욕구에 비해 실직(實職)은 부족하고, 진급자,

군공자(軍功者), 역역(力役)·서리(胥吏) 복무자, 기타 공로자에 대한 포상을 위해서는 많은 관직이 필요했지만 관직 수는 제한되어 있었으며, 평민 및 노비 출신에게 실직(實職)을 줄 수 없는 사정, 그리고 국가재정부족에 따른 매관매직용 산직의 증가 등이 그 주요 원인이다.


산직의 남발은 신분제 문란과 면역(免役) 계층을 증가시키고 관료 제도를 부패시키는 여러 가지 폐단의 원인이 되었다.


특히 고려 후기의 첨설직 남발은 고려사회를 붕괴시키는 중요한 원인이 되었다.


조선에서는 이를 방지하기 위해 산직(散職)과 산계(散階)를 이원화하여 평민이나 역역(力役)복무자에게는 영직(影職), 잡직계(雜織階), 토관계(土官階)를 수여하고, 노인직(老人職)이나 영직 보유자의 특권을 제약했다.


그러나 임진왜란 이후 국가재정 타개를 위해 돈을 받고 산관직을 파는 납속책(納粟策)이 시행되면서 산직이 남발되어 신분제 붕괴와 삼정문란의 원인이 되었다.


(가) 산관직(散官職): 산관(散官)이란 실제 근무처는 없고 명칭만 있는 관직인 산직(散職)을 가진 사람을 가리킨다.


원래는 품계인 산계(散階)를 보유한 사람을 뜻하는데, 해당하는 품계의 관리가 될 수 있는 자격을 가지고 있었다.


산계는 과거, 음서(蔭敍), 진급, 포상, 대가(代加) 및 역역(力役)의 대가(對價) 등 여러 이유로 주어지거나 승진되었다. 그러나 관품(官品) 자체는 관직(官職)이 아니었다.


관직에 결원이 생기면 관직에 해당하는 품계를 가진 사람 중에서 적정 인물을 뽑아 임명했다. 그리고 관직에 일정기간 복무하거나 공을 세우면 관품을 올려주었다.


그가 관직에서 물러나면 최종 관직 때까지 보유한 관품을 그대로 가지고 다시 산관이 되며, 음서, 부세(賦稅), 형벌 등에서 일정한 특권을 보장받았다.


그러나 관료군(官僚群)이 증가하여 인사적체가 심해지자 1443년(세종 16)부터 양반관료에게도 실제 근무처가 없는 관직만 부여하는 산관직을 폭넓게 운영했다.


(나) 영직(影職):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산직(散職)이다. 직함(職銜)만 있고 직사(職司)는 없는 그야말로 “허직(虛職)“이었다.


조선시대에는 고려시대의 검교직 등 기존의 유급(有給) 산직을 혁파하고, 세종 때부터 무급(無給) 산직인 영직(影職)을 만들었다.


산직(散職)이므로 정해진 수가 없고, 양반뿐만 아니라 평민, 아전, 조군(漕軍), 수군(水軍)에게까지 주었다.


이 때문에 세종대부터 남설되는 경우가 많았다. 영직을 사용하는 경우는 크게 4가지였다.


① 일반 병종(兵種) 거관자(去官者)에 속하는 충순위(忠順衛), 정병(正兵), 파적위(破敵衛), 관령(管領), 수군, 조졸(漕卒)로 모두 양인(良人)이거나 천인(賤人)에 가까운 자들이었다.


군역(軍役)에 대한 반대급부는 필요한 것이지만, 이를 통해 일반민을 양반으로 만들 수는 없어 모두 영직을 주었다.


② 성중관(成衆官: 세조 이후는 녹사綠事), 별좌(別坐) 거관자(去官者)에 속하는 자들로 세종 말년 이후에는 상급서리였던 성중관 거관자로 이미 경관 및 외관 임명후보자 명부에 오른 자들도 승진하지 못해 심하게 적체되었다.


이에 자원(自願)에 따라 영직을 주게 했으며, 체아직(遞兒職)을 준 뒤 한 번만 봉급을 주고 바로 영직으로 전환시키기도 했다.


③ 가자(加資), 군공(軍功)포상 등을 받은 자들로서, 1444년(세종 26)에 노인직, 군공포상, 원종공신(原從功臣), 응사(膺師), 이전(吏典)거관, 백관가자(百官加資) 등에는 산관직을 주도록 했다.


④ 납속(納粟) 등의 형태로 받은 자들로서 조선 후기에 납속책에 따른 매관매직이 증가하면서, 노인직·증직(贈職)과 함께 가장 많이 활용되었다.


이 같은 관계로 영직은 명예직에 머무를 뿐 원칙적으로는 일반관료가 누리는 특권까지 부여하지 않았다.


그러나 실제로는 많은 평민들이 이를 이용하여 국역(國役)부담에서 벗어났으므로, 17세기 이후 신분제를 붕괴시키는 중요한 수단이 되었다.


(다) 노인직(老人職): 노직(老職) 또는 수직(壽職)이라고도 한다.


조선시대 80세 이상된 노인에게 주는 산직(散職)의 일종이다.


15세기 전반기에 첨설직, 검교직, 동정직 등 고려 때의 산직이 폐지되고 새로운 산직체계가 성립되었는데, 이때 생겨난 관직이다.


〈경국대전(經國大典)〉 이전(吏典) 노인직조(條)에 의하면 80세 이상은 양천(良賤)을 막론하고 1계급을 주고, 원래 관계(官階)가 있는 사람에게는 1계급을 올리고 당상관에게는 왕명에 따라 주었다. 이러한 규정은 〈대전통편〉에서 더욱 구체화되었다.


내용을 보면, 종친(宗親) 가운데 부수(副守) 이상으로 80세가 되었거나 봉군(封君)의 부친이나 시종신(侍宗臣)의 부친, 지방장관의 부친으로 70세 이상이 되면 매년 정초에 가자(加資)하도록 했다. 또 동반, 서반 관리로서 4품관 이상의 실직에 있었던 사람 가운데 80세 이상 된 자도 가자했으며, 사족(士族)의 부녀자 가운데 90세가 된 이와 서민(庶民)의 경우 100세가 된 이에게 가자했다.


이와 같이 노인직은 신분에 관계없이 80세 이상이면 누구에게나 주는 것으로, 양인(良人)과 천인(賤人)에게는 그다지 특전이 없고 양반(兩班) 관료(官僚)들에게는 가자(加資) 등의 특전이 있었다.


조선 후기에는 이 제도가 문란하게 운영되어 사서인(士庶人)(5품이하의 관료 및 양인) 중에서 높은 위계를 받기도 했다.



문무관원의 수

정종 2년(1400 경진 4월 6일)

우리 조정은 동반(東班)이 판문하(判門下)·영삼사(領三司)에서 9품(品)까지가 5백 20여 원(員)이고, 서반(西班)이 상장군(上將軍)·대장군(大將軍)에서 대장(隊長)·대부(隊副)까지가 4천 1백 70여 인이다

(我朝東班, 自判門下、領三司至九品, 五百二十餘員, 西班自上、大將軍, 至隊長隊副, 四千一百七十餘人, 文武官吏之數, 固三倍於中朝之制矣)。



조선조(朝鮮朝) 관직(官職) 품계표(品階表) 동반(東班) 및 서반(西班)


 당상(堂上)


정1품(正一品)

대광보국숭록대부(大匡輔國崇祿大夫)-(議政) 

상보국숭록대부(上輔國崇祿大夫)-(國舅-後期)

보국숭록대부(輔國崇祿大夫)


종1품(從一品)

숭록대부(崇祿大夫). 숭정대부(崇政大夫).

이상 부인의 칭호는 정경부인(貞敬夫人)

 

정2품(正二品)

정헌대부(正憲大夫). 자헌대부(資憲大夫)

 

종2품(從二品)

가정대부(嘉靖大夫)-(嘉義-後改). 가선대부(嘉善大夫).

이상 부인의 칭호는 정부인(貞夫人)

 

정3품(正三品)

(문관)통정대부(通政大夫). )무관)절충장군(折衝將軍)

부인의 칭호는 숙부인(淑夫人)


당하(堂下)

정3품(正三品)

(문관)통훈대부(通訓大夫). (무관) 어모장군(禦侮將軍)

 

종3품(從三品)

(문관) 중직대부(中直大夫). 중훈대부(中訓大夫)

(무관) 건공장군(建功將軍). 보공장군(保功將軍)

이상 부인의 칭호는 숙인(淑人)

 

정4품(正四品)

(문관) 봉정대부(奉正大夫). 봉렬대부(奉烈大夫)

(무관) 진위장군(振威將軍). 소위장군(昭威將軍)


종4품(從四品)

(문관) 조산대부(朝散大夫). 조봉대부(朝奉大夫)

(무관) 정략장군(定略將軍) 선략장군(宣略將軍)

이상 부인의 칭호는 영인(令人)


참상(參上)


정5품(正五品)

(문관) 통덕랑(通德郞). 통선랑(通善郞)

(무관) 과의교위(果毅校尉). 충의교위(忠毅校尉)


종5품(從五品)

(문관) 봉직랑(奉直郞). 봉훈랑(奉訓郞)

(무관) 현신교위(顯信校尉). 창신교위(彰信校尉)

이상 부인의 칭호는 공인(恭人)


정6품(正六品)

(문관) 승의랑(承議郞) 승훈랑(承訓郞)

(무관) 돈용교위(敦勇校尉). 진용교위(進勇校尉)

 

종6품(從六品)

(문관) 선교랑(宣較郞). 선무랑(宣務郞)

(무관) 여절교위(勵節校尉). 병절교위(秉節校尉)

이상 부인의 칭호는 의인(宜人)

 

참하 (參下)


정7품(正七品)

(문관) 무공랑(務功郞).

(무관) 적순부위(迪順副尉)

 

종7품(從七品)

(문관) 계공랑(啓功郞)

(무관) 분순부위(奮順副尉)

이상 부인의 칭호는 안인(安人)

 

정8품(正八品)

(문관) 통사랑(通仕郞)

(무관)승의부위(承義副尉)

 

종8품(從八品)

(문관) 승사랑(承仕郞)

(무관) 수의부위(修義副尉)

이상 부인의 칭호는 단인(端人)


 정9품(正九品)

(문관) 종사랑(從仕郞)

(무관) 효력부위(效力副尉)


종9품(從九品)

(문관) 장사랑(將仕郞)

(무관) 진력부위(辰力副尉)

이상 부인의 칭호는 유인(儒人)



참고(1) 당상관 , 당하관…조선조에서 관계(官階)를 2분(二分)한 계제(階梯), 조회(朝會) 기타에 당상(堂上)에 배석(陪席)하는 관원임. 문관(文官)은 정3품 상계(上階)인 ‘통정대부 이상, 무관(武官)은 정3품인 ‘절충장군’ 이상이 이에 속하며 통칭 재상.

정3품 하계(下階)인 ‘통훈대부’이하 모든 ‘계제’를 ‘당하관’이라 함.


참고(2) 참상 , 참하, 출륙(出六)…종6품 이상의 계제를 ‘참상’이라 하고, 정7품 이하를 ‘참하’혹은 ‘참외(參外)’라 하는데, ‘참하관’에서 ‘참상관’이 되는 것을 출륙(出六) 혹은 승륙(陞六)이라 함.


참고(3) 직함(職銜)의 정식 명칭…‘계(階-품계)-사(司-관서)-직(職-직위)’의 순서로 일컬음. 예를 들면 영의정(領議政)은 ‘대광보국숭록대부(大匡輔國崇祿大夫-階)-의정부(議政府-司)-영의정(領議政-職)’ 단 종친(宗親), 의빈(儀賓) 및 충훈부(忠勳府) ‘당상관’은 ‘사(司)’를 칭(稱)하지 아니한다. 또 돈녕부(敦寧府), 경연(經筵) 등 관사(官司)에 있는 영사류(領事類-判事, 知事, 同知事 등) ‘領’자 등을 ‘司’ 위에 놓아 ‘영돈녕부사, 판돈녕부사, 지경연사, 동지돈녕부사’ 등으로 일컫는다.


참고(4) 행수직(行守職)…‘행직(行職)’이란 계고직비(階高職卑)의 경우임. 예를 들어 종1품계를 가진 이가 정2품직인 ‘이조판서(吏曹判書)가 되면 숭정대부행이조판서(崇政大夫行吏曹判書)라 함. 이에 비해 계비직고(階卑職高)의 경우를 ‘수직(守職)’이라 하는데, 예를 들면 종2품계를 가진 이가 정2품직인 대제학(大提學)이 되면 ‘가선대부수홍문관대제학(嘉善大夫守弘文館大提學)’이라 함. 단 7품 이하의 관원은 2품계를 높일 수 없고, 6품 이상 관원은 3품계를 높일 수가 없음.


참고(5) 관직의 임기…임만(任滿)이라 하며, 대개 6품 이상은 900일, 7품 이하는 450일, 무록관(無祿官)은 360일임. 그러나 지방관(地方官)의 임기 만료는 과만(瓜滿), 과한(瓜限)이라 하며 관찰사(觀察使), 도사(都事)는 360일(1년), 수령(守令)은 1800일(5년), 당상관(堂上官)과 미설가수령(未挈家守令)은 900일(2년반), 병사(兵使), 수사(水使), 우후(虞候), 평사(評事)는 720일(2년), 미설가첨사(未挈家僉事), 만호(萬戶)는 900일을 원칙으로 하나 조선 후기에는 ‘관찰사, 도사’가 20삭(朔), ‘수령’이 30삭 또는 60삭[‘삼년과(三年窠)’와 ‘6년과’의 구별이 있음] 등으로 고쳐졌다.


참고(6) 재상(宰相, 정3품 당상관 이상)이 군무(軍務)의 임명을 받으면 의정(議政)은

도체찰사(都體察使), 1품 이하는 도순찰사(都巡察使), 종2품은 순찰사(巡察使), 3품은 찰리사(察里使)의 직함을 더한다.


참고(7) 20세 미만인 자는 동반 관직에 임명될 수 없으나, 과거에 급제한 사람의 경우 그렇지 아니하였다.



조선조 동반(東班) 경관직(京官職) 관아(官衙) 관원(官員)


무계아문(無階衙門) 

 

1.기로소(耆老所)

 소관 업무(所管業務)…왕실 경노당(敬老堂), 문신(文臣) 정2품 실직(實職) 70세 이상인 사람을 명하여 들게 함, 국왕으로서는 태조(壽74), 숙종(肅宗, 享年60), 영조(英祖, 壽83) 등 참여.

관원 조직(官員 組織)…수직관(守直官) 2人. 승문원(承文院, 槐院)과 성균관(成均館, 國子監)의 7品官 이하(以下) 관원(官員) 각 1인.

 

2. 종친부(宗親府)

 업무…역대 국왕의 계보(系譜), 초상화(肖像畵) 보관. 국왕, 왕비의 의복 관리,선원 제파(璿源諸派)의 지휘 감독.

구성원…대군(大君, 왕의 嫡子), 군(君, 왕의 서자(庶子), 영종정경(領宗正卿,종친(宗親)으로서 봉군(封君)된 자 및 종성(宗姓)인 관원으로서 2품 이상인 자로서 정원 없이 임명), 군(君, 정1품), 판종정경(判宗正卿, 정1품), 군(君, 종1품. 대군(大君)을 승습(承襲)한 적장자(嫡長子)에게 초수(初修), 군(君, 정2품. 왕세자의 중자(衆子), 대군의 승습자인 적장손, 왕자군 승습자인 적장자에게 초수), 지종정경(知宗正卿, 정2품으로부터 종1품까지), 군(君, 종2품. 왕세자의 중손, 대군의 중자, 대군의 승습자인 적장증손(嫡長曾孫), 왕자군 의 승습자인 적장손(嫡長孫)에게 초수), 종정경(宗正卿, 종2품), 도정(都正, 정3품당상), 정(正, 정3품당하. 왕세자의 중증손(衆曾孫), 대군의 중손(衆孫), 왕자군의 중자(衆子), 왕자군 승습자인 적장중손(嫡長曾孫)에게 초수), 부정(副正, 종3품. 대군의 중증손(衆曾孫), 왕자군(王子君)의 중손(衆孫)에게 초수), 수(守, 정4품. 왕자군 중증손(衆曾孫)에게 초수), 부수(副守, 종4품), 영(令, 정5품), 부령(副令, 종5품), 감(監, 정6품)

관원…도정(都正, 정3품당상), 정(正, 정3품당하), 전첨(典籤,정4품-1), 전부(典簿, 정5품-1), 주부(主簿,종6품-1), 직장(直長-종7품-1), 참봉(參奉, 종9품-1)

기타…구성원에 대군(大君), 왕자군(王子君)이 있으면 무계아문(無階衙門. 종친은 정원이 없고, 양첩(良妾)의 소생(所生)인 종친은 적출(嫡出)보다 그 품계(品階) 1급(級)을

강등(降等), 천첩(賤妾) 소생 종친은 또 1급 강등. 승습직(承襲職)은 부(父) 사망 후 임

명, 왕자로서 처음 봉군 자로부터 4대가 지나면 그 자손들은 문무관(文武官) 자손 임용 규정에 의하여 관직에 취임한다.

 

정1품아문(正一品衙門)

 

3. 의정부(議政府)

 별칭(別稱)…도당(都堂), 황각(黃閣)

업무…백관(百官) 통솔, 일반 정무 처리, 음양(陰陽) 섭리(燮理), 국토 계획,

외교(外交).

관원…영의정(領議政, 정1품-1), 좌의정(左議政, 정1품-1), 우의정(右議政, 정1품-1), 좌찬성(左贊成, 종1품-1), 우찬성(右贊成, 종1품-1),

좌참찬(左參贊, 정2품-1), 우참찬(정2품-1),

사인(舍人, 정4품-2), 검상(檢詳, 정5품-1), 공사관(公事官, 종6품-11), 사록(司錄, 정8품-2)

 

4. 충훈부(忠勳府)

 별칭…맹부(盟府), 운대(雲臺), 공신도감(功臣都鑑)

업무…모든 공신(功臣)을 통솔 우대하는 관부(官府)

구성원…군(君, 정1품)(친공신(親功臣), 왕비(王妃)의 부(父)는 '君'字 위에 '부원(府院)' 2字를 더함), 군(君, 종1품), 군(君, 정2품), 군(君, 종2품)

관원…경력(經歷, 종4품-1), 도사(都事, 종5품-1)

 

5. 의빈부(儀賓府)

 별칭…부마부(駙馬府)

업무…공주(公主), 옹주(翁主)와 혼인(婚姻)한 자(者)를 통솔 우대

구성원…위(尉, 정1품), 위(尉, 종1품), 위(尉, 정2품), 위(尉, 종2품), 부위(副尉, 정3품당상), 첨위(僉尉, 정3품 당하). 첨위(僉尉, 종3품), 모두 정원 없음.

관원…경력(經歷, 종4품-1), 도사(都事, 종5품-1)

 

6. 돈녕부(敦寧府)

 별칭…종정부(宗正府)

업무…왕친(王親)과 외척(外戚)들을 통솔하고 우대

관원…영사(領事, 정1품-1), 판사(判事, 종1품-1), 지사(知事, 정2품-1), 동지사(同知事, 종2품-1), 도정(都正, 정3품당상-1), 정(正, 정3품당하-1), 부정(副正, 종3품-1), 첨정(僉正, 종4품-2), 판관(判官, 종5품-2), 주부(主簿, 정6품-2), 직장(直長, 종7품-2), 참봉(參奉, 종8품-2), 참사(參事, 종9품-2)

기타…영사(領事) 등 관원의 지칭은 '판돈녕부사(判敦寧府事)' 등.


7. 비변사(備邊司)

 별칭…비국(備局), 주사(籌司)

업무…국내외 군무(軍務)의 기밀(機密)을 총괄(總括)

관원…도제조(都提調-현임現任 및 전임 대신大臣이 겸임함), 제조(提調-6조판서(六曹判書), 훈련도감(訓練都監) 및 어위영(御衛營)의 대장(大將),개성(開城) 및 강화유수(江華留守), 대제학(大提學), 금위대장(禁衛大將),수어사(守禦使),총융사(摠戎使) 등이 겸임).'제조' 중 4인은 유사당상(有司堂上), 기타 8인은 8도구관당상(八道句管堂上).부제조(副提調), 낭청(郎廳,종6품-12人. 4인은 문관, 그 중 1인은 병조무비사(兵曹武備司)의 낭관(郎官)이 겸임, 나머지 3인은 시종(侍從)으로 임명하며, 나머지 8인은 7품 이하의 관원으로 겸임)


참고1) 시종(侍從)은 시종신(侍從臣)의 준말로 홍문관(弘文館: 옥당(玉堂)), 사헌부(司

憲府) 및 사간원(司諫院)의 대간(臺諫), 예문관(藝文館)의 검열(檢閱), 승정원(承政院)의 주서(注書) 등 측신(側臣)을 지칭함.

참고2) 각 사(司) 또는 청(廳) 등에서 관제상(官制上) 우두머리가 아닌 사람에게 그 관청을  상징적으로 다스리게 하던 벼슬로서 정1품 관원이 맡을 경우 도제조(都提調)라 하고, 從一品에서 正二品까지인 관원이 맡으면 제조(提調), 그리고 정3품 당상관이 맡으면 부제조(副提調)라 하였음.

 

종1품아문(從一品衙門)

 

8. 의금부(義禁府)

 별칭…순군(巡軍), 의용(義勇), 왕부(王府), 금오(金吾)

업무…왕명을 받들어 추국(推鞫)의 사무를 관장(管掌)

관원…판사(判事, 종1품), 지사(知事, 정2품), 동지사(同知事, 종2품). 이상 직위는 각 1-2명 도합4명. 경력(經歷, 종4품-1), 도사(都事, 참상도사(參上都事)로 종6품-5),

도사(都事, 참하도사(參下都事)로 종8품-5)

참고) 판의금부사(判義禁府事) 

 

정2품아문(正二品衙門)

 

 9. 이조(吏曹)

 별칭…천관(天官), 동전(東銓), 전리문부(典理文部), 선부(選部)

업무…문선(文選), 훈봉(勳封), 고과지정(考課之政) 등 정사(政事) 관장

관원…판서(判書, 정2품-1), 참판(參判, 종2품-1), 참의(參議, 정3품 당상-1),

정랑(正郞, 정5품-3), 좌랑(佐郞, 정6품-2)

 

 10. 호조(戶曹)

 별칭…지관(地官),지부(地部),창부(倉部),민관민부(民官民部),탁지(度支),판도(版圖)

업무…호구(戶口), 공물(貢物), 부역(賦役), 전량(田粮), 식량(食糧), 기타의 재화(財貨)

등 재정(財政), 경제(經濟)에 관한 정사를 관장

관원…판서(判書, 정2품-1), 참판(參判, 종2품-1), 참의(參議, 정3품당상-1), 정랑(正郞, 정5품-3), 좌랑(佐郞, 정6품-3), 산학교수(算學敎授, 종6품-1), 겸교수(兼敎授, 종6품-1), 별제(別提, 종6품-2), 산사(算士, 종7품-1), 계사(計士, 종8품-2), 산학훈도(算學訓導, 정9품-1), 회사(會士, 종9품-2),  산원(算員, 56人) 

 

 11. 예조(禮曹)

 별칭…춘관(春館), 남관(南館), 의조(儀曹), 예부(禮部)

업무…예악(禮樂), 제사(祭祀), 연향(宴享), 조빙(朝聘), 학교(學校), 과거(科擧)의 정사(政事)를 관장

관원…판서(判書, 정2품-1), 참판(參判, 종2품-1), 참의(參議, 정3품 당상-1),

정랑(正郞, 정5품-3), 좌랑(佐郞, 정6품-3)

 

 12.병조(兵曹)

 별칭…하관(夏官), 병관(兵官), 서전(西銓), 군부(軍簿), 군부(軍部), 기성(騎省), 총부(摠部)

업무…무선(武選), 군무(軍務), 의위(儀衛), 우체역로(郵遞驛路), 병갑(兵甲), 의위용(儀衛用)의 기장(器仗), 경성(京城)의 성문(城門)과 민가(民家)의 경비(警備) 및 궁궐(宮闕) 문 열쇠의 관리 등에 관한 정사를 관장.

관원…판서(判書, 정2품-1), 참판(參判, 종2품-1), 참의(參議, 정3품 당상-1),

참지(參知, 정3품 당상-1), 정랑(正郞, 정5품-4), 좌랑(佐郞, 정6품-4)

 

 13.형조(刑曹)

 별칭…추관(秋官), 계관(季官), 이방의리전법(理方義利典法), 형관(刑官), 옥관(獄官),           이부(理部)

업무…법률(法律), 평옥사송(評獄詞訟), 노예(奴隸)에 관한 정사(政事)를 관장

관원…판서(判書, 정2품-1), 참판(參判, 종2품-1), 참의(參議, 정3품 당상-1),

참지(參知, 정3품 당상-1), 정랑(正郞, 정5품-4), 좌랑(佐郞, 정6품-4),

잡직(雜織)으로 율학교수(律學敎授, 종6품-1), 겸교수(兼敎授, 종6품-1. 의금부(義禁府)의 조율(調律) 담당), 별제(別提, 종6품-2), 명률(明律, 종7품-1), 심률(審律, 종8품-2), 율학훈도(律學訓導, 정9품9-1), 검률(檢律, 종9품-2)

 

 14. 공조(工曹)

 별칭…동관(冬官),수부(水府),예작(例作),수례(修例), 공관(工官),전공(典工)

업무…산택(山澤), 공장(工匠), 영선(營繕), 도야(陶冶)의 정(政)을 관장

관원… 판서(判書, 정2품-1), 참판(參判, 종2품-1), 참의(參議, 정3품 당상-1),

정랑(正郞, 정5품-3), 좌랑(佐郞, 정6품-3),

잡직(雜織)…工造(종8-1), 工作(종9-1)


15. 한성부(漢城府)

 별칭…경조(京兆)

업무…경도(京都) 호구부(戶口簿), 시장(市場), 점포(店鋪), 가사(家舍), 전토(田土), 사산(四山), 도로(道路), 교량(橋梁), 개천(開川), 하수도(下水道), 포흠(逋欠결-탈세脫稅와 소비물消費物 추심推尋), 대차(貸借)의 소송(訴訟), 투구(鬪毆), 주간순찰(晝間巡察), 검시(檢屍), 차량(車輛), 고실(故失), 우마(牛馬), 낙계(烙契) 등에 관한 사무를 관장

관원…판윤(判尹, 정2품-1), 좌윤(左尹, 종2품-1), 우윤(右尹, 종2품-1),

서윤(庶尹, 종4품-1), 판관(判官, 종5품-2), 주부(主簿, 종6품-2),

참군(參軍, 정7품-3, 1인은 통례원(通禮院) 인의(引義)가 겸임)

 

 16. 수원부(水原府)


업무…화성(華城)의 행정을 관할(管轄)

관원…留守(정2-2, 1人은 경기관찰사(京畿觀察使)가 겸임), 판관(判官, 종5품-1),

검률(檢律, 종9품-1)

기타…본래 도호부(都護府)인데 정조 조에 유수(留守)를 두게 되어 정2품아문이 됨

 

 17. 광주부(廣州府)

 업무…남성(南城)의 행정을 관할

관원…留守(정2-2, 1人은 경기관찰사(京畿觀察使)가 겸임), 판관(判官, 종5-1),

검률(檢律.종9-1)

기타…본래 도호부(都護府)인데 정조 조에 유수(留守)를 두게 되어 정2품아문이 됨

 

종2품아문(從二品衙門)

 

 18.규장각(奎章閣)

 업무…역대 국왕이 지은 시문(詩文), 친필 서화(書畵), 고명(顧命), 현 국왕의 초상화(像畵)와 지은 시문, 친필 서화 등 관리(管理)

관원…제학(提學, 종2-2. 겸임. 종1까지 가능), 직제학(直提學, 정3품당상-2. 겸임. 종2까지 가능), 직각(直閣, 종6-1. 정3까지 가능), 대교(待敎, 정9-1, 정7까지 가능)

 

 19.교서관(校書館)

 별칭…예각(禮閣), 내서(內書), 비서(秘書), 전교(典校), 외각(外閣)

업무…경서(經書), 사적(史籍)의 인쇄, 반포, 향축(香祝), 인전(印篆) 등 업무 담당

관원…제조(提調, 2인. 대제학, 규장각奎章閣 제학 등이 겸임), 부제조(副提調 2인. 규장각의 직제학直提學이 겸임), 판교(判校, 정3당하-1. 다른 관사의 관원이 겸임), 교리(校理, 종5-1), 겸교리(兼校理, 종5-1. 규장각의 직각直閣이 겸임), 별좌(別坐, 종5), 별제(別提, 정5), 별제(別提, 종6)(이상 합4人), 박사(博士) 이하의 관원은 의정부(議政府)의 사록(司祿) 1인 및 봉상시(奉常寺)의 직장(直長) 이하 관원 1인이 겸임), 박사(博士, 정7-2), 저작(著作, 정8-2), 정자(正子, 정9-2), 부정자(副正字, 종9-2)


20.사헌부(司憲府)

 별칭…백부(柏府), 상대(霜臺), 오대(烏臺), 어사대(御史臺), 감찰사(監察司)

업무…시정(時政)의 논평, 백관(百官) 규찰(糾察), 풍속을 바르게 하고 원억(怨抑)한 형벌을 밝히며 참람(僭濫)한 행위와 위계(僞計)를 금하는 등 일 관장

관원…대사헌(大司憲, 종2-1), 집의(執義, 종3-1), 장령(掌令, 정4-2), 지평(持平, 정5-2), 감찰(監察, 정6-24),

 

21.개성부(開城府)

 업무…구도(舊都) 개성(開城)의 행정을 관할

관원…유수(留守, 종2-2, 1人은 경기관찰사가 겸임), 경력(經歷, 종4-1),


도사(都事, 종5-1), 교수(敎授, 종6-1), 분교관(分敎官, 종9-1), 검률(檢律, 종9-1)


22.강화부(江華府)

 업무…강화(江華)의 행정 담당

관원…유수(留守, 종2-2, 1人은 경기관찰사가 겸임), 경력(經歷, 종4-1), 분교관(分敎官, 종9-1), 검률(檢律, 종9-1)

 

 23.충익부(忠翊府)

 업무…본래 원종공신(原從功臣)의 관부였는데 충훈부(忠勳府)에 합쳐짐

 관원…도사(都事, 종5-2)

 

정3품아문(正三衙門)

 

24. 승정원(承政院)

 별칭…은대(銀臺), 후원(喉院)

업무…왕명(王命)의 출납(出納)을 관장함.

관원…도승지(都承旨, 홍문관弘文館의 직제학直提學을 겸임), 좌승지(左承旨), 우승지(右承旨), 좌부승지(左副承旨), 우부승지(右副承旨), 동부승지(同副承旨)(이상 정3당상-각1인), 주서(注書, 정7-2), 사변가주서(事變假注書, 정7-1)

 

25. 장례원(掌隷院)

 업무…노예적(奴隸籍)과 노예의 소송에 관한 사무 관장?

관원…판결사(判決事, 정3-1), 사의(司議, 정5-3), 사평(司評, 정6-4)

 

26.사간원(司諫院)

 별칭…미원(薇院)

업무…왕의 악정(惡政)과 비위(非違)를 간(諫)하고 논박(論駁)하는 일 관장

관원…대사산(大司諫, 정3당상-1), 사간(司諫, 종3-1), 헌남(獻納, 정5-1), 정언(正言,정6-2)

 

27.경연(經筵)

 별칭…분사(分司), 하전(厦氈)

업무…왕에게 경서(經書)를 강독(講讀)하고 논평(論評)하는 일 담당

관원…모두 다른 관사(官司)의 관원이 겸임. 영사(領事, 정1-3, 의정議政이 겸임),

지사(知事, 정2-3), 동지사(同知事, 종2-3), 참찬관(參贊官, 정3당상-7, 승지承旨 및 부제학副提學이 겸임), 시강관(侍講官, 정4. 응교, 부응교 겸임), 시독관(侍讀官, 정5. 교리. 부교리 겸임), 검토관(檢討官, 정6. 수찬. 부수찬 겸임),

사경(司經, 정7), 설경(說經, 정8), 전경(典經, 정9)


28.홍문관(弘文館) 

별칭…옥당(玉堂), 옥서(署), 영각(瀛閣), 서서원(瑞書院), 청연각(淸燕閣)

업무…궁중의 경서(經書) 및 사적(史籍) 관리하며 문서를 처리하고 또한 왕의 자문(諮問)에 응하는 등 업무 관장

관원…영사(領事, 정1-1. 영의정 겸임), 대제학(大提學, 정2-1), 제학(提學, 종2-1), 부제학(副提學, 정3당상-1), 직제학(直提學, 정3당하-1. 도승지都承旨가 겸임), 전한(典翰, 종3-1), 응교(應敎, 정4-1), 부응교(副應敎, 종4-1), 교리(校理, 정5-2), 부교리(副校理, 종5-2), 수찬(修撰, 정6-2), 부수찬(副修撰, 종6-2),

박사(博士, 정7-1),  저작(著作, 정8-1), 정자(正子, 정9-2).    

기타…本館의 관원은 모두 경연(筵)의 관직 겸임. 부제학(副提學)부터 부수찬(副修撰)까지 관원이 지제교(知製敎)를 겸임한 것을 내지제교(內知製敎)라 하고,

대제학(大提學)이 이조판서(吏曹判書)와 상의하여 6品 이상 관원으로 별도 임명된 관원을 외지제교(外知製敎)라 하며, 정3품 통정대부(通政大夫)에 이르기까지 겸임하며 규장각의 직제학 이상은 현임, 전임을 막론 모두 외지제교(外知製敎)를 겸임한다.

 

29. 예문관(藝文館)

 별칭…원봉성(元鳳省), 사림원(詞林院), 문한서(文翰署), 한림원(翰林院)

업무…관원의 사령서(辭令書)를 작성하는 사무 관장

관원…영사(領事(정1-1, 의정이 겸임), 대제학(大提學, 정2-1. 겸임), 제학(提學, 종2-1. 겸임), 제학(提學) 이상의 관직은 다른 관사의 관원으로 겸임. 부제학(副提學, 정3당상-1), 직제학(直提學, 정3당하-1. 도승지가 겸임), 응교(應敎, 정4-1.겸임), 봉교(奉敎, 정7-2), 대교(待敎, 정8-4), 검열(檢閱, 정9-4)

 

30. 세자시강원(世子侍講院)

 별칭…춘방(春坊), 갑관(甲觀), 첨사(詹事), 징원당(澄源堂), 뇌사(雷肆) 

업무…왕세자에게 경서(經書), 사적(史籍) 강의, 도의(道義)를 가르치는 임무 담당

관원…사(師, 정1-1. 의정이 겸임), 부(傅, 정1-1, 의정이 겸임), 이부(貳傅, 종1-1.찬성(贊成)이 겸임), 부빈객(副賓客) 이상의 관원은 다른 관사의 관원이 겸임. 좌빈객(左賓客, 정2-1), 우빈객(右賓客, 정2-1), 좌부빈객(左副賓客, 종2-1), 우부빈객(右副賓客, 종2-1), 찬선(贊善, 정3당상-1), 보덕(輔德, 정3-1), 겸보덕(兼輔德, 정3-1), 진선(進

善, 정4-1), 필선(弼善, 정4-1), 겸필선(兼弼善, 정4-1), 문학(文學, 정5-1), 겸문학(兼文學, 정5-1), 사서(司書, 정6-1), 겸사서(兼司書, 정6-1), 설서(說書, 정7-1), 자의(諮議, 정7-1)

기타…세자시강원은 경국대전에서는 종3품아문에 속하였으나 정조조에 주재관(主宰官) 인 보덕(輔德)을 승격하여 정3품 관원으로 하였으므로 정3품아문이 되었음.

 

31.세손시강원(世孫侍講院)

 업무…왕세손(王世孫)에게 강의하는 임무 담당

관원…사(師, 종1-1.겸임), 부(傅, 종1-1. 겸임), 좌유선(左諭善, 정3당하-1), 우유선(右諭善, 정3당하-1), 좌악선(左翊善, 종4-1), 우익선(右翊善, 종4-1.겸임), 좌권독(左勸讀, 종從5-1), 우권독(右勸讀, 종5-1), 죄찬독(左贊讀. 종6-1), 우찬독(右贊讀, 종6-1.겸임.


32.성균관(成均館)

 별칭…태학(太學), 국학(國學), 국자감(國子監)

업무…유학(儒學)의 교육에 관한 임무 담당

관원…지사(知事, 정2-1. 대제학이 겸임), 동지사(同知事, 종2-2. 겸임), 대사성(大司成, 정3당상-1), 죄주(祭酒, 정3당상1-1-2품 관원도 겸임), 사성(司成, 종3-2), 사예)司藝, 정4-3), 사업(司業, 정4-1), 직강(直講, 정5-4), 전적(典籍, 정6-13), 박사(博士, 정7-3), 학정(學正, 정8-3), 학록(學錄, 정9-3), 학유(學諭ㅡ 종9-3)

 

33.상서원(尙瑞院)

 업무…새보(璽寶), 부패(符佩), 절월(節鉞) 등의 사무 담당

관원…정(正, 정3당상-1.도승지가 겸임), 판관(判官. 종5-1), 직장(直長, 종7-1),

부직장(副直長, 정8-2)

 

34.춘추관(春秋館)

 별칭…구관(口官)

업무…시정(時政)을 기록하는 일 담당.

관원…(모두 다른 官司의 관원으로 겸임으로 수찬관修撰官 이하 정수는 없음). 영사(領事, 정1-1. 영의정이 겸임), 감사(監事, 정1-2. 좌우의정이 겸임), 지사(知事, 정2-2), 동지사(同知事, 종2-2), 수찬관(修撰官, 정3당상), 편수관(編修官, 정3-종4), 기주관(記注官, 정5-종5), 기사관(記事官, 정6-정9)

기타…관직의 지칭은 영춘추관사(領春秋館事), 돈녕부 등 참조.

 

35.승문원(承文院)

 별칭…괴원(槐阮)

업무…사대교린(事大交?)하는 문서에 관한 사무 관장

관원…(참교參校 이하의 관원 모두 다른 관사의 관원으로 겸임). 도제조(都提調, 정

1-3. 의정이 겸임), 제조(提調(정, 종2), 부제조(副提調, 정3당상), 판교(判校, 정3당하-1), 참교(參校, 종3-2), 교감(校勘, 종4-1), 교리(校理, 종5-2), 검교(校檢, 정6-2), 박사(博士, 정7-2), 저작(著作, 정8-2), 정자(正子, 정9-2), 부정자(副正字, 종9-2)

 

36.통례원(通禮院)

 별칭…사범서(司範署), 통례문(通禮門), 합문(閤門), 중문(中門),홍로(鴻로) 

업무…의식(儀式)에 관한 사무 관장

관원…좌통례(左通禮, 정3당하-1), 우통례(右通禮, 정3하-1), 상례(相禮, 종3-1), 익례(翊禮,종3-1), 봉례(奉禮, 정4-1), 겸인의(兼引儀, 종9-6), 가인의(假引儀, 종9-6)

 

37.봉상시(奉常寺)

 별칭…전기서(典記署),태상시(太常寺),전의시(典儀寺)

업무…제사(祭祀) 및 시호(諡號)의 논의에 관한 일 담당

관원…도제조(都提調, 정1-1), 제조(提調, 종1-종2), 정(正, 정3하-1), 부정(副正, 종3-1), 첨정(僉正, 종4-2), 판관(判官, 종5-2), 주부(主簿, 종6-2), 직장(直長, 종7-1.승문원 7품 이하 관원 겸임), 봉사(奉事, 종8-1.성균관 7품 이하 관원 겸임), 부봉사(副奉事, 정9-1. 성균관의 7품 이하 관원 겸임). 참봉(參奉, 종9-1. 교서관校書館의 7품 이하 관원 겸임)  

 

38.종부시(宗簿寺)

 별칭…전중서(殿中省), 종정시(宗正寺)

업무…선원보첩(璿源譜牒)을 편집, 기록, 종실(宗室) 비위(非違) 조사, 규탄 임무.

관원…도제조(都提調, 정1-2.왕의 본종本宗의 존속친尊屬親), 제조(提調, 종1-정2-2), 정(正, 정3下-1), 첨정(僉正, 종4-1), 주부(主簿, 종6-1), 직장(直長, 종7-1)

 

39.사옹원(司饔院)

 별칭…상식사(尙食司), 선주원(膳廚院), 사선(司膳)

업무…왕의 식사(御膳) 대궐 안의 식사 공급(闕內供饋)에 관한 사무를 관장

관원…도제조(都提調, 정1-1), 제조(提調, 종1-종2-4), 부제조(副提調, 정3당상-5), 정(正, 정3당하-1), 제거(提擧, 정3 또는 종3), 제검(提檢, 정4 또는 종4), 제거(提擧), 제검(提檢) 합4人. 첨정(僉正, 종4-1), 판관(判官, 종5-1), 주부(主簿, 종6-3), 직장(直長, 종7-2), 봉사(奉事, 종8-3), 참봉(參奉, 종9-2). ‘정正’은 궁중에 혼인식이 있을 때 임명하고, '제거, 제검'은 외국 사신을 접대할 연회가 있을 때 임명.

잡직(雜職)…재부(宰夫, 종6-1), 선부(膳夫, 9종7-1), 조부(調夫, 종8-2), 임부(?夫, 정9-2),팽부(烹夫, 종9-2) 

 

40.내의원(內醫院)

 별칭…상약(尙藥), 장의(掌醫), 봉의(奉醫), 상의(尙醫), 약방(藥房)

업무…왕이 복용(服用)하는 약(藥)을 조제(調製)하는 일 관장

관원…도제조(都提調,정1-1), 제조(提調, 종1-종2-1), 부제조(副提調,. 정3당상-1. 승지가 겸임), 정(正, 정3당하-1), 첨정(僉正, 종4-1), 판관(判官, 종5-1), 주부(主簿, 종6-1), 직장(直長, 종7-3), 봉사(奉事, 종8-2), 부봉사(副奉事, 정9-2), 참봉(參奉, 종9-1)

 

41. 상의원(尙衣院)

 별칭…장복(掌服), 중상(中尙), 공조(供造), 상방(尙方)

업무…왕의 의복과 궁중에서 소요(所要)되는 용도품(用度品), 금(金), 보화(寶貨) 등 물건을 공급하는 일 관장

관원…제조(提調, 종1-종2-2), 부제조(副提調, 정3上-1. 승지가 겸임),

정(正, 정3당하-1), 첨정(僉正, 종4-1), 별좌(別坐, 정5 또는 종5-2), 판관(判官, 종5-1), 주부(主簿, 종6-1), 별제(別提, 정6 또는 종6-2), 직장(直長, 종7-2)

잡직(雜職)…공제(工製, 종7-5), 공조(工造, 종8-2), 공작(工作, 종9-2)

 

42. 군기시(軍器寺)

 별칭…무고(武庫),군기시(軍機寺)

업무…병기(兵器)를 제조(製造)하는 일 관장

관원…도제조(都提調, 정1-1), 제조(提調, 종1-종2-2), 정(正, 정3당하-1), 부정(副正, 종3-1), 첨정(僉正, 종4-2), 별좌(別坐, 정5 또는 종5-2), 판관(判官, 종5-2), 별제(別提, 정6 또는 종6-2), 주부(主簿, 종6-2), 직장(直長, 종7-1), 봉사(奉事, 종8-1), 부봉사(副奉事, 정9-1), 참봉(參奉, 종9-1) 

잡직(雜職)…공제(工製, 종7-5), 공조(工造, 종8-2), 공작(工作, 종9-2)

 

43. 사섬시(司贍寺)

 별칭…사섬고(司贍庫), 공조서(供造署)

업무…저화(楮貨)의 제조와 외거노비(外居奴婢)의 공포(貢布) 등 사무 관장

관원…제조(提調, 종1-종2-1), 정(正, 정3당하-1), 부정(副正, 종3-1), 첨정(僉正, 종4-1), 주부(主簿, 종6-1), 직장(直長, 종7-1)

잡직(雜職)…공조(工造, 종8-4), 공작(工作, 종9-2)

 

44.군자감(軍資監) 

 별칭…물장성(物藏省),보천감(寶泉監),소부감(小府監)

업무…군수품(軍需品) 저장(貯藏)에 관한 일 관장

관원…도제조(都提調. 정1-1), 제조(提調, 종1-종2-1.병조판서가 겸임), 정(正, 정3당하-1), 부정(副正, 종3-1), 첨정(僉正, 종4-2), 별좌(別坐, 정5 또는 종5-2), 판관(判官, 종5-3), 별제(別提, 정6 또는 종6-2), 주부(主簿, 종6-2), 직장(直長, 종7-1), 봉사(奉事, 종8-1), 부봉사(副奉事, 정9-1), 참봉(參奉, 종9-1)

 

45.장악원(掌樂院)

 별칭…성음서(聲音署), 대악감(大樂監), 전악서(典樂署), 아악서(雅樂署)

업무…음악의 교육에 관한 일 관장

관원…제조(提調, 종2-정2-2), 정(正, 정3당하-1), 첨정(僉正, 종4-1), 주부(主簿, 종6-2), 직장(直長, 종7-1). 잡직으로 전악(典樂, 정6-2), 부전악(副典樂, 종6-2), 전률(典律, 정7-2), 부전률(副典律, 종7-2), 전음(典音, 정8-2), 부전음(副典音, 종8-4), 전성(典聲, 정9-10), 부전성(副典聲, 종9-23),

체아직(遞兒職)…악사(樂師), 악생(樂生), 악공(樂工), 관현맹(管絃盲) 등.


 46.관상감(觀象監)

 별칭…누각전(漏刻典),태복감(太卜監),태사국(太史局),사천대(司天臺),관후서(觀候署),

 서운관(書雲觀)

업무…천문, 지리, 역수(曆數), 점주(占籌), 측후(測候), 누각(漏刻) 등일 관장

관원…영사(領事, 정1-1), 제조(提調, 종2-정2-2), 정(正, 정3당하-1), 부정(副正, 종3-1),첨정(僉正, 종4-1), 판관(判官, 종5-2),  주부(主簿, 종6-1), 천문학교수(天文學敎授, 종6-1), 지리학교수(地理學敎授, 종6-1), 천문학겸교수(天文學兼敎授, 종6-3),

지리학겸교수(地理學兼敎授, 종6-1), 명과학교수(命課學兼敎授, 종6-1), 명과학겸교수(命課學兼敎授, 종6-1), 직장(直長, 종7-2), 봉사(奉事, 종8-2), 부봉사(副奉事, 정9-3). 천문학훈도(天文學訓導, 정9-1), 지리학훈도(地理學訓導, 정9-1), 명과학훈도(命課學訓導, 정9-2), 참봉(參奉, 종9-3). 천문학습독관(天文學習讀官, 10인), 금루(禁漏, 30원)  

 

47.전의감(典醫監)

 별칭…태의감(太醫監), 사의서(司醫署)

업무…궁중용 의약(醫藥) 공급 및 왕이 하사하는 의약에 관한 일 관장

관원…제조(提調,종1-정2-2), 정(正, 정3당하-1), 부정(副正, 종3-1), 첨정(僉正, 종4-1), 판관(判官, 종5-1), 주부(主簿, 종6-1), 의학교수(醫學敎授, 종6-1), 직장(直長, 종7-2), 봉사(奉事, 종8-2), 부봉사(副奉事, 정9-3). 의학훈도(醫學訓導, 정9-1), 참봉(參奉, 종9-5), 습독관(習讀官, 30인)

 

48.사역원(司譯院)

 별칭…통문관(通文館), 한문도감(漢文都監), 설원(舌院), 상원(象院)

업무…모든 외국 언어에 통역(通譯)에 관한 일 관장

관원…제조(提調, 종1-정2-2), 정(正, 정3당하-1), 부정(副正, 종3-1), 첨정(僉正, 종4-1), 판관(判官, 종5-2),  주부(主簿, 종6-1), 한학교수(漢學敎授, 종6-4), 직장(直長, 종7-1), 봉사(奉事, 종8-3), 부봉사(副奉事, 정9-2). 한학훈도(漢學訓導, 정9-1), 청학훈도(淸學訓導, 정9-2), 몽학훈도(蒙學訓導, 정9-2), 왜학훈도(倭學訓導, 정9-2), 참봉(參奉, 종9-2), 한학습독관(漢學習讀官, 30원)

 

종삼품아문(從三品衙門)


50. 선공감(繕工監)

 별칭…장작(將作)

업무…토목과 건축에 관한 일 관장

관원…제조(提調, 종1-정2-2. 제조 1인은 호조판서가 겸임), 정(正, 정3당하-1), 부정(副正,종3-1), 첨정(僉正, 종4-1), 판관(判官, 종5-2),  주부(主簿, 종6-1), 직장(直長, 종7-1), 봉사(奉事, 종8-2), 부봉사(副奉事, 정9-1), 참봉(參奉, 종9-2), 감역관(監役官, 종9-3)

 

정사품아문(正四品衙門)


51. 종학(宗學)

 업무…종실(宗室)의 교육에 관한 임무 담당

관원…도선(導善, 정4-1), 전훈(典訓, 정5-1), 사회(司誨, 정6-2). 모든 관직은 성균관 사성(司成) 이하 전적(典籍) 이상 관원이 겸임

 

52.수성금화사(修城禁火司)

 업무…궁성(宮城)과 도성(都城) 수리(修理) 및 궁궐, 관청의 청사(廳舍), 경성(京城) 각동 (各洞) 민가의 소방(消防)에 관한 일 관장

관원…도제조(都提調, 정1-1), 제조(提調, 종1-정2-2), 제검(提檢, 정4-4. 3인은 사복시정司僕寺正, 군기시정軍器司正, 선공감정繕工監正이 겸임), 별좌(別坐, 정5 또는 종5-6. 4인은 의금부경력義禁府經歷, 병조/형조/공조 정랑正郞 각 1인이 겸임). 별제(別提, 정6 또는 종6-3. 1인은 한성부판관漢城府判官이 겸임),

 

53. 풍저서(豊儲署)

 업무…미곡(米穀), 두태(豆太), 초둔(草芚), 지지(紙地) 등 물건을 관리. 후에 폐지하여 장흥고(長興庫)에 속함

관원…수(守, 정4-1), 주부(主簿, 종6-1), 직장(直長, 종7-1), 봉사(奉事, 종8-1), 부봉사(副奉事, 정9-1).

 

54 광흥창(廣興倉)

 별칭…태창서(太倉署), 사록관(司祿館), 천록사(天祿司)

업무…백관의 봉록미(俸祿米)를 관리

관원…수(守, 정4-1), 영(令, 종5-1), 주부(主簿, 종6-1), 직장(直長, 종7-1), 봉사(奉事, 종8-1), 부봉사(副奉事, 정9-1).

 

종사품아문(從四品衙門)

 

55.사도시(司導寺)

 별칭…비용시(備用寺), 요물고공(料物庫供), 정고(正庫)

업무…궁중 미창(米倉)의 미곡 및 궁중에 공급되는 장(醬) 등 물건을 관리

관원…제조(提調, 종1-정2-1), 정(正, 정3하-1), 부정(副正,종3-1), 첨정(僉正, 종4-1), 주부(主簿, 종6-1), 직장(直長, 종7-1), 봉사(奉事, 종8-1). 후에 정(正), 부정(副正) 등 관직은 감원(減員)

 

56. 사재감(司宰監)

 별칭…(司津), 도진(都津),의염창(義鹽倉)

업무…왕실에 수요(需要)되는 어류(魚類), 수육(獸肉), 식염(食鹽), 연료(燃料), 거화(炬火) 등에 관한 일 관장

관원…제조(提調, 종1-정2-1), 정(正, 정3당하-1), 부정(副正, 종3-1), 첨정(僉正, 종

4-1), 주부(主簿, 종6-1), 직장(直長, 종7-1), 봉사(奉事, 종8-2), 참봉(參奉, 종9-1).

후에 '정, 부정' 등 관직은 감원(減員).

 

57.전함사(典艦司)

별칭…사수감(司水監)

업무…외(京?外)의 선박(船舶) (軍艦) 관리

관원…도제조(都提調, 정1-1), 제조(提調, 종1-정2-1), 제검(提檢, 종4), 별돠(別坐, 정5 또는 종5), 별제(別提, 정6 또는 종6). 제검(提檢) 이하 관원은 합5人. 수운판관(水運判官, 종5-2), 해운판관(海運判官, 종6-1).

 

58. 전연사(典涓司)

 업무…궁궐을 청결(淸潔)하는 임무 담당

관원…제조(提調,종1-정2-1.선공감제조繕工監提調가 겸임), 제검(提檢, 종4), 별좌(別坐, 정5 또는 종5), 별제(別提, 정6 또는 종6). 제검(提檢) 이하 관원은 합5人. 직장(直長, 종7-2), 봉사(奉事, 종8-2), 참봉(參奉, 종9-6).

 

정오품아문(正五品衙門)

 

59. 내수사(內需司)

 별칭…요물고(料物庫)

업무…용의 미곡(米穀), 포목(布木), 잡화(雜貨), 노비(奴婢) 등 관리.

관원…(정5-1), 별좌(別坐, 정5 또는 종5-2), 별제(別提, 정6 또는 종6-2),   부전수(副典需, 종6-1), 전회(典會, 종7-1), 전곡(典穀, 종8-1), 전화(典貨, 종9-2). 서제(書題, 20인).

 

종오품아문(從五品衙門)

 

60.소격서(昭格署)

 업무…성신초제(三淸星辰醮祭)의 일 담당.

관원…제조(提調, 종1-정2-1), 영(令, 종5-1), 별제(別提, 정6 또는 종6-2), 참봉(參奉, 종9-2).

 

61. 종묘서(宗廟署)

 별칭…침원(大廟寢園)

업무…(寢廟)를 수위(守衛)하는 일 담당.

관원…도제조(都提調, 정1-1), 제조(提調, 종1-정2-1), 영(令, 종5-2), 직장(直長, 종7-1), 봉사(奉事,종8-1), 부봉사(副奉事, 정9-1).

 

62. 사직서(社稷署)

별칭…사직단(社稷壇)

업무…단(壇)을 청결하는 일 담당

관원…제조(提調, 정1-1), 제조(提調, 종1-정2-1), 영(令,종5-3), 직장(直長, 종7-1),

참봉(參奉, 종9-2).

 

63. 경모궁(景慕宮)

 업무…(宮廟)를 수위(守衛)하는 일 담당

관원…제조(提調, 정1-1), 제조(提調, 종1-정2-1), 영(令, 종5-3), 직장(直長, 종7-1), 봉사(奉事, 종8-1).

 

64. 제용감(濟用監)

 업무…왕에게 진상(進上)하는 직물, 인삼 및 왕이 하사하는 의복, 사포(紗布), 나견(羅絹), 능견(綾絹), 주단(綢緞), 포화(布貨), 채색(綵色), 입염(入染), 직조물 등에 관한 일 담당

관원…제조(提調, 종1-정2-1), 정(正, 정3당하-1), 부정(副正, 종3-1), 첨정(僉正, 종4-1), 판관(判官, 종5-1), 주부(主簿, 종6-2), 직장(直長, 종7-1), 봉사(奉事, 종8-1), 부봉사(副奉事,정9-1), 참봉(參奉, 종9-1). 후에 ‘정正, 부정副正, 첨정僉正’ 등 직책은 감원.

 

65. 평시서(平市署)

 별칭…경시서(京市署)

업무…시장과 점포를 단속(團束)하고, 되 및 자(尺) 등 도량형기(度量衡器)을 정확하게 하며 물가를 조절하는 등 사무 관장

관원…제조(提調, 종1-정2-1), 영(令, 종5-1),  주부(主簿, 종6-2), 직장(直長, 종7-1), 봉사(奉事, 종8-1).

 

66. 사온서(司溫署)

 업무…궁중에 술과 감주(甘酒)를 공급하는 일 담당

관원…영(令, 종5-1),  주부(主簿, 종6-1), 직장(直長, 종7-1), 봉사(奉事, 종8-1).


67. 전생서(典牲暑)

 업무…궁중의 제사에 쓸 짐승을 기르는 일 담당

관원…제조(提調, 종1-정2-1), 판관(判官, 종5-1), 주부(主簿, 종6-1), 직장(直長, 종7-1), 봉사(奉事, 종8-1), 부봉사(副奉事, 정9-1), 참봉(參奉, 종9-1).

 

 68.오부(五部)

 업무…경성의 중동남서북(中東南西北) 등 각부의 5개 관서(官署). 한성부 관내 각동 거주인의 범법 사건과 교량, 도로, 반화(頒火), 금화(禁火), 이문(里門)의 경계와 수직(守直), 가옥과 대지(垈地)의 측량, 시체(屍體)의 검사 등 사무 관장

관원…시기에 따라 각부(各部)에 영(令, 종5-1) 혹은 주부(主簿, 종6-1) 혹은 도사(都事,종6 참상參上-1) 혹은 봉사(奉事, 종8-1) 혹은 도사(都事, 종9-1)가 다스렸다.

 

종육품아문(從六品衙門)

 

69. 내자시(內資寺)

 별칭…대관(大官), 선관(膳官)

업무…궁중에 공급하는 미곡(米穀), 면류(麵類), 장(醬), 기름, 봉밀(蜂蜜), 소채(蔬菜), 과실, 궁중 연회 및 직조물 등에 관한 일 관장

관원…제조(提調, 종1-정2-1), 정(正, 정3당하-1), 부정(副正, 종3-1), 첨정(僉正, 종4-1), 판관(判官, 종5-1), 주부(主簿, 종6-1), 직장(直長, 종7-1), 봉사(奉事, 종8-1). 후에 ‘정正, 부정副正, 첨정僉正’ 등 직책 감원.

 

70. 내섬시(內贍寺)

 별칭…덕천시(德泉寺)

업무…각궁(各宮) 및 각전(各殿)에 올리는 물건, 2품 이상 고관에게 하사하는 주류(酒類), 일본인 및 야인에 하사하는 식물(食物), 직조물 등에 관한 일 관장

관원…제조(提調, 종1-정2-1), 정(正, 정3당하-1), 부정(副正, 종3-1), 첨정(僉正, 종4-1), 판관(判官, 종5-1), 주부(主簿, 종6-1), 직장(直長, 종7-1), 봉사(奉事, 종8-1) 후에 ‘정(正), 부정(副正), 첨정(僉正) 등 직책 감원.

 

71. 예빈시(禮賓寺)

 별칭…왜전((倭典), 반객(頒客), 사빈(司賓), 봉빈(奉賓) 

업무…빈객(賓客), 연향(燕享) 또는 종재(宗宰)에게 공급하는 식사 등의 일을 관장

관원…제조(提調, 종1-정2-1), 정(正, 정3당하-1), 부정(副正, 종3-1), 첨정(僉正, 종4-1), 제검(提檢, 정4 또는 종4), 별좌(別坐, 정5 또는 종5), 제검提檢,별좌別坐, 별제別提는 합6인. 판관(判官,종5-1), 별제(別提,정6 또는 종6), 주부(主簿,종6-2), 직장(直長, 종7-1), 봉사(奉事, 종8-1), 참봉(參奉, 종9-1). 후에 ‘정(正), 부정(副正), 첨정(僉正) 등 직책 감원.


72. 전설사(典設司)

 별칭…국(尙舍局), 사설서(司設署)

업무…(式典)에 사용하는 장막(帳幕)을 공급하는 일 관장

관원…제조(提調, 종1-정2-1), 수(守, 정4-1),  제검(提檢, 정4 또는 종4), 별좌(別坐, 정5 또는 종5), 별제(別提, 정6 또는 종6-2), 제검提檢, 별좌別坐, 별제別提는 합5인. 별검(別檢,종8-1). 후에 ‘수守’ 등 직책 감원.

 

73. 의영고(義盈庫)

 업무…국유의 유류(油類), 봉밀(蜂蜜), 황랍(黃蠟), 소물(素物), 호초(胡椒) 등 물건 관리

관원…영(令,종5-1), 주부(主簿,종6-1), 직장(直長, 종7-1), 봉사(奉事, 종8-1). 후에‘영令’은 감원.


74. 장흥고(長興庫)

 업무…돗자리(草席), 유둔(油芚) 및 지지(紙地) 등 물건을 관리

관원…영(令, 종5-1), 주부(主簿, 종6-2), 직장(直長, 종7-1), 봉사(奉事, 종8-1). 후에 ‘영(令)’은 감원.

 

75. 빙고(氷庫)

 업무…얼음을 저장하는 일 관리

관원…제조(提調, 종1-정2-1), 별좌(別坐, 종5-1), 별제(別提, 정6 또는 종6-2), 별검(別檢,정8 또는 종8-2). 후에 '별좌(別坐’)는 감원.

 

76. 장원서(掌苑署)

 별칭…내원서(內苑署)

업무…원유(苑?)의 꽃나무와 과실나무를 관리

관원…제조(提調, 종1-종2-1), 장원(掌苑, 정6-1), 별제(別提, 정6 또는 종6-2), 봉사(奉事,종8-1). 후에 ‘장원(掌苑)’은 감원.

 

77. 사포서(司圃署)

 업무…왕 소유 원포(園圃)의 소채(蔬菜) 재배 담당

관원…제조(提調, 종1-종2-1), 사포(司圃, 정6-1), 별제(別提, 정6 또는 종6-2), 직장(直長,종7-1), 별검(別檢, 정8 또는 종8-1). 후에 ‘사포(司圃)는 감원.

 

78. 양현고(養賢庫)

 업무…성균관(成均館) 유생에게 미곡(米穀), 두태(豆太) 등을 공급하는 일 관장

관원…주부(主簿, 종6-1. 성균관 전적(典籍)이 겸임), 직장(直長, 종7-1. 성균관박사가 겸임), 봉사(奉事, 종8-1.성균관학정이 겸임). 

 

79. 사축서(司畜署)

업무…가축 외외의 짐승을 기르는 일 담당

관원…제조(提調, 종1-종2-1.호조판서가 겸임), 사축(司畜, 정6-1), 별제(別提, 종6-2). 후에 ‘사축司畜’은 감원.

 

80. 조지서(造紙署)

 업무…표(表),전(箋),자문(咨文) 등에 쓸 종이 및 제반사에 사용할 지류(紙類)를 제조하는 일 담당

관원…제조(提調, 종1-종2-1.총융사가 겸임), 사지(司紙, 정6-1), 별제(別提, 종6-3). 후에 '사지(司紙')는 감원.


 

81.혜민서(惠民署)

 별칭…혜민국(惠民局)

업무…의약(醫藥) 및 일반 서민을 치료하는 일 담당

관원…제조(提調, 종1-종2-2), 주부(主簿, 종6-1), 의힉교수(醫學敎授, 종6-2), 직강(直長,종7-1), 봉사(奉事, 종8-1), 의학훈도(醫學訓導, 정9-1), 참봉(參奉, 종9-4).

 

82.도화서(圖畵署)

 별칭…채전(彩典)

업무…회화(繪?)에 관한 일 담당

관원…제조(提調, 종1-종2-1), 별제(別提, 종6-2), 겸교수(兼敎授, 종6-1), 잡직으로 선화(善畵, 종6-1), 선회(善繪, 종7-1), 화사(畵史, 종8-1), 회사(繪史, 종9-2), 화원(畵員30인).

 

83. 전옥서(典獄署)

 별칭…대리(大理)

업무…구금(拘禁)된 죄수의 행형(行刑)을 관장

관원…부제조(副提調, 정3하-1.승지가 겸임), 주부(主簿, 종6-1), 봉사(奉事, 종8-1), 참봉(參奉, 종9-2).

 

84. 활인서(活人署)

 별칭…대비원(大悲院)

업무…경성(京城) 안의 질병자를 치료하는 일 담당

관원…제조(提調, 종1-종2-1), 별제(別提, 종6-2), 참봉(參奉, 종9-2).

 

85. 와서(瓦署)

 별칭…와밀(瓦密),도국(陶局)

업무…개와(蓋瓦)와 벽돌을 제조하는 일 담당

관원…제조(提調, 종1-종2-1), 별제(別提, 종6-3).


86. 귀후서(歸厚署)

 별칭…관곽색(棺槨色)

업부… 관곽(棺槨)을 제조하여 그것을 일반인의 원(願)에 의하여 매각하며 또한 장례에 수요(需要)되는 모든 일 담당. 후에 선공감(繕工監)에 합쳐짐,

관원…제조(提調, 종1-종2-1), 별제(別提, 종6-6).

 

87. 사학(四學)

 업무…동서남중학(東西南中學) 관내의 유생을 교육하는 알 담당

관원…교수(敎授,종6-各校 2인),훈도(訓導,정9-각교1인).성균관의 전적(典籍)이 겸임한 경우도 있었음.


 

88. 각전(各殿)

왕실의 원조(遠祖)로서 추존(追尊)된 왕 및 왕비의 위패(位牌)를 봉안한 곳 또는 왕의 영정(影幀-肖像畵)를 봉안한 곳

 ▶조경전(肇慶殿)/全州/왕실의 시조(始祖)인 신라(新羅) 사공공(司空公)의 위패(位牌) 봉안(奉安)-令    (종5-1),별검(別檢,종8-1)

 ▶문소전(文昭殿)/신의왕후(神懿王后)의 혼전(魂殿)-도제조(都提調)-2, 제조(提調)-2, 참봉(參奉,종    9-2)

 ▶연은전(延恩殿)/성종(成宗)의 친부(親父) 덕종(德宗)의 사당-제조(提調)-1.문소정제조(文昭殿提調)가    겸임. 참봉(參奉, 종9-2)

 ▶경기전(慶基殿)/全州/태조(太祖)의 영정 봉안-영(令, 종5-1), 참봉(參奉, 종9-1)

 ▶선원전(璿源殿)/永興/태조 탄생지, 영정(影幀) 봉안-영(令, 종6-2),

 ▶영희전(永禧殿)/京城/태조(太祖),세조(世祖),원종(元宗),숙종(肅宗)의 영정 봉안-도제조(都提調)-1,    제조(提調)-1, 영(令,종5-2), 참봉(參奉, 종9-1)

 ▶장녕전(長寧殿)/江華/숙종(肅宗),영조(英祖)의 영정 봉안-영(令,종5-1),별검(別檢, 종8-1)

 ▶만녕전(萬寧殿)/江華/영조(英祖) 영정 봉안-별검(別檢, 종8-1),참봉(參奉,종9-1)

 ▶화녕전(華寧殿)/水原/정조(正祖) 영정 봉안-제조(提調-1-수원유수(水原留守)가 겸임)-영(令-1.수원부    판관이 겸임)

 ▶장생전(長生殿)/왕실에서 소요되는 관(棺)을 준비하여 보관-도제조(都提調-1,영의정이 겸임), 제조(提 調-3, 호조(戶曹), (예조禮曹) ,공조(工曹)의 3판서가 겸임), 낭청(郎廳-호조, 예조, 공조의 3관이 겸임).

 

89.각릉(各陵)

  소관 업무(所管業務)-승하(昇遐)한 왕(王), 왕비(王妃)의 능침(陵寢) 수호(守護)

  <역대 조선 왕조 능침의 명칭, 위치, 피장(被葬), 관원 조직>

(1) 덕릉(德陵)-함흥(咸興)-이태조(李太祖) 고조부(高祖) 추존(追尊) 목조(穆祖) 능-

    직장(直長,종9-1)

(2) 안릉(安陵)-함흥-‘덕릉’과 같은 경내-이태조 고조모 효공왕후(孝恭王后)의 능-

    참봉(參奉, 종9-1)

(3) 지릉(智陵)-안변(安邊)-이태조 증조부 익조(翼祖)의 능-

    직장(직장,從7-1), 참봉(參奉, 從9-1) 

(4) 숙릉(淑陵)-문천(文川)-이태조 증조모 정숙왕후(貞淑王后)능-

    봉사(奉事, 종8-1),참봉(參奉, 종9-1)

 5) 의릉(義陵)-함흥-이태조 조부 도조(度祖)의 능-

    봉사(奉事, 종8-1), 참봉(參奉, 종9-1)

(6) 순릉(純陵)-함흥-이태조 조모 경순왕후(敬順王后)의 능-

    봉사(奉事,종8-1), 참봉(參奉, 종9-1)

(7) 정릉(定陵)-함흥-이태조 부 환조(桓祖)의 능-

    참봉(參奉, 종9-1)



(8) 화릉(和陵)-함흥. ‘정릉’과 같은 경내. 이태조 모 의혜왕후(懿惠王后) 능-

     참봉(參奉, 종9-1)

 (9) 건원릉(健元陵)-양주(楊州)-이태조의 능-

     영(令, 종5-1), 참봉(參奉, 종9-1)

 (10) 제릉(齊陵)-풍덕(豊德)-이태조 비 신의왕후(神懿王后) 능-

     참봉(參奉, 종9-1)

 (11) 정릉(貞陵)-양주-이태조 계비(繼妃) 신덕왕후(神德王后) 능-

     영(令, 종5-1), 참봉(參奉, 종9-1)

 (12) 후릉(厚陵)-풍덕-정종(定宗)과 비 정안왕후(定安王后) 능-

     영(令, 종5-1), 참봉(參奉, 종9-1)

 (13) 헌릉(獻陵)-광주(廣州)-태종(太宗)과 비 원경왕후(元敬王后) 능-

     직장(直長,종7-1), 참봉(參奉, 종 9-1)

 (14) 영릉(英陵)-여주(驪州)-세종(世宗)과 비 소헌왕후(昭憲王后) 능-

     영(令, 종5-1),참봉(參奉, 종9-1)

 (15) 현릉(顯陵)-양주-문종(文宗)과 비 현덕왕후(顯德王后) 능-

     영(令, 종5-1), 참봉(參奉, 종9-1)

 (16) 장릉(莊陵)-영월(寧越)-단종(端宗) 능-

     영(令, 종5-1), 참봉(參奉, 종9-1)

 (17) 사릉(思陵)-양주-단종 비 정순왕후(定順王后) 능-

     영(令, 종5-1), 참봉(參奉, 종9-1)

 (18) 광릉(光陵)-세조(世祖)와 비 정희왕후(貞憙王后) 능-

     영(令, 종5-1), 참봉(參奉,종9-1)

 (19) 경릉(敬陵)-고양(高陽)-세조의 장자(長子) 추존 덕종(德宗)의 능-

     令(從5-1),  參奉(從9-1)

 (20) 창릉(昌陵)-고양-예종(睿宗)과 비 안순왕후(安順王后) 능-

     영(令, 종5-1), 참봉(參奉, 종9-1)

 (21) 공릉(恭陵)-파주-예종의 계비 장순왕후(章順王后) 능-

     영(令, 종5-1), 참봉(參奉, 종9-1)

 (22) 선릉(宣陵)-광주-성종(成宗)과 계비 정현왕후(貞顯王后) 능-

     직장(直長, 종7-1),참봉(參奉, 종9-1)   

 (23) 순릉(順陵)-파주-성종 원비(元妃) 공혜왕후(恭惠王后)의 능-

      직장(直長, 종7-1),참봉(參奉, 종9-1)

 (24) 정릉(靖陵)-광주-중종(中宗)의 능-

      직장(直長, 종7-1),참봉(參奉, 종9-1)

 (25) 온릉(溫陵)-양주-중종의 원비 단경왕후(端敬王后) 능-

      영(令, 종5-1),참봉(參奉,종9-1)

 (26) 희릉(禧陵)-고양-중종의 계비 장경왕후(章敬王后) 능-

      직장(直長, 종7-1),참봉(參奉,종9-1)

(27) 태릉(泰陵)-양주-중종의 계비 문정왕후(文定王后) 능-

      직장(直長, 종7-1),참봉(參奉,종9-1)

 (28) 효릉(孝陵)-고양-인종(仁宗)과 비 인성왕후(仁聖王后) 능-

      영(令,종5-1), 참봉(參奉,종9-1)

 (29) 강릉(康陵)-양주-명종(明宗)과 비 인순왕후(仁順王后) 능-

      영(令,종5-1), 참봉(參奉,종9-1)

 (30) 목릉(穆陵)-양주-선조(宣祖)와 원비 의인왕후(懿仁王后) 및 계비 인목왕후(仁穆王后) 능-

     별검(別 檢,종8-1), 참봉(參奉, 종9-1)

(31) 장릉(章陵)-김포(金浦)-선조의 오자(五子) 원종(元宗, 仁祖 生父의 追尊) 및 비

      인헌왕후(仁獻王后 具氏) 능- 영(令,종5-1),참봉(參奉,종9-1)

 (32) 장릉(長陵)-파주군 교하(交河)-인조(仁祖)와 원비 인열왕후(仁烈王后) 능-

      영(令, 종5-1),참봉(參 奉,종9-1)

 (33) 휘릉(徽陵)-양주-인조의 계비 장렬왕후(莊烈王后) 능-

      영(令, 종5-1),참봉(參奉,종9-1)

 (34) 영릉(寧陵)-여주-효종(孝宗)과 비 인선왕후(仁宣王后) 능-

      영(令, 종5-1),참봉(參奉,종9-1)

 (35) 숭릉(崇陵)-양주-현종(顯宗)과 비 명성왕후(明聖王后) 능-

      영(令,종5-1),참봉(參奉,종9-1)

 (36) 명릉(明陵)-고양-숙종(肅宗)과 계비 인현왕후(仁顯王后) 및 계비 인원왕후(仁元 王后) 능-

    영(令,종 5-1),참봉(參奉, 종9-1)

 (37) 익릉(翼陵)-고양-숙종 원비 인경왕후(仁敬王后) 능-

       영(令,종5-1),참봉(參奉,종9-1)

 (38) 의릉(懿陵)-양주-경종(景宗)과 계비 선의왕후(宣懿王后) 능-

      영(令,종5-1),참봉(參奉,종9-1)

 (39) 혜릉(惠陵)-양주-경종 원비 단의왕후(端懿王后) 능-

      영(令,종5-1),참봉(參奉,종9-1)

 (40) 원릉(元陵)-양주-영조(英祖)와 계비 정순왕후(貞純王后) 능-

      별검(別檢,종8-1), 참봉(參奉,종9-1)

(41) 홍릉(弘陵)-고양-영조의 원비 정성왕후(貞聖王后)의 능-

      영(令,종5-1),참봉(參奉,종9-1)

 (42) 영릉(永陵)-파주-영조의 장자 추존 진종(眞宗)과 비 효순왕후(孝純王后) 능-

      영(令,종5-1),참봉(參 奉,종9-1)

 (43) 건릉(健陵)-수원(水原)-정조(正祖)와 비  효의왕후(孝懿王后) 능-

      영(9,종5-1),참봉(參奉,종9-1)

 (44) 인릉(仁陵)-광주-순조(純祖)와 비 원숙왕후(元肅王后) 능-

      영(令,종5-1),참봉(參奉,종9-1) 

 (45) 수릉(綏陵)-양주-순조의 장자 추존 문조(文祖-憲宗의 生父) 및 비 신정왕후(神 貞王后) 능-

    영(令, 종5-1),참봉(參奉,종9-1)       

 (46) 경릉(景陵)-양주-헌종(憲宗)과 원비 효현왕후(효현왕후) 및 계비 효정왕후(효정왕후) 능-

   직장(直長,종7-1),참봉(參奉,종9-1)

(47) 예릉(睿陵)-고양-철종(哲宗) 및 비 철인왕후(哲仁王后)의 능-

      영(令,종5-1),참봉(參奉,종9-1). 

 

90. 현륭원(顯隆園)

 수원(水原)에 있었음. 정조(正祖)의 생부(生父) 사도세자(思悼世子) 묘(墓), 후에 장조(莊祖)로 추존되고 융릉(隆陵)으로 봉(封)함.  영(令,종5-1),참봉(參奉,종9-1).

 

91.각원(各園)

 ※ 이 때의 원(園)은 왕세자(王世子) 또는 왕세손(王世孫)으로 책봉(冊封)된 후 왕위(王位)에 오르지 못하고 사망한 자 및 왕의 생모(生母)로 선왕(先王)의 비(妃)가 아닌 사람의 묘소(墓所).  수봉관(守奉官)

(1) 순강원(順康園)-양주-원종(元宗)의 생모(宣祖의 後宮) 인빈(仁嬪) 金氏의 묘소-

    수봉관(守奉官, 종 9-2)

(2) 소녕원(昭寧園)-양주-영조(英祖)의 생모(肅宗의 후궁) 숙빈(淑嬪) 崔氏의 묘소-

    수봉관(종9-2)

 (3) 수길원(綏吉園)-양주-진종(眞宗)의 생모(英祖의 후궁) 청빈(淸嬪) 李氏의 묘소-

    위‘소녕원’의‘수 봉관’이 겸임.

 (4) 휘경원(徽慶園)-양주-순조(純祖)의 생모(正祖의 후궁) 수빈(綏嬪) 朴氏의 묘소-

    영(令,종5-1),참봉( 參奉,종9-1).

 

92. 각묘(各墓)

 ※ 능(陵) 또는 원(園) 이외(以外)의 왕족(王族)의 묘소

(1) 순회묘(順懷墓)-고양. 명종(明宗)의 세자인 순회세자(順懷世子)의 묘.

   후에 순창원(順昌園)으로 개 칭. 수위곤(守衛官-2. 공신功臣의 적자손嫡子孫)

(2) 소현묘(昭顯墓)-고양. 인조(仁祖)의 차자(次子) 창현세자(昌顯世子)의 묘.

   후에 소경원(昭慶園)이라 개칭.(수위관守衛官-2. 공신功臣의 적자손嫡子孫)

(3) 민회묘(愍懷墓)-시흥. 소현세자빈(昭顯世子嬪)의 묘.

   후에 영희원(永禧園)이라 개칭. (수위관守衛官 -2. 공신의功臣의 적자손嫡子孫)

(4) 의소묘(懿昭墓)-양주. 영조(英祖)의 세손(世孫)인 의소세손(懿昭世孫)의 묘.

   (수위관守衛官-2. 공신 功臣의 적자손嫡子孫)

(5)효창묘(孝昌墓)-양주. 정조(正祖)의 세자 문효세자(文孝世子)의 묘.

  후에 효창원(孝昌園)이라 개칭. (수위관守衛官-2. 공신의功臣의 적자손嫡子孫).

 

93. 권설직(權設職)

 (1) 대군사부(大郡師傅)-종9, (2) 왕자사부(王子師傅)-종9, (3) 왕손교부(王孫敎傅)-종9, (4) 내시교관(內侍敎官)-종9-2, 동몽교관(童蒙敎官)-종9-4.

※ 이상 관원은 모두 사과(司果) 이하의 체아록(遞兒祿)을 받으며, 재직 임기(在職任期) 900日을 마치면 6品으로 승급하였음.



西班官衙(서반관아)


 1. 中樞府(중추부)

업무: 문무 당상관(文武堂上官)으로서 무임자(無任者)를 대우하는 기관으로서 태조때 중추원으로 하였으며 정종(定宗)때에 삼군부(三軍府)로 고치고 세조때에는 중추부로 다시 고쳤는데 서추(西樞), 홍추(鴻樞)라고도 한다.

관원: 영사(領事=영의정이 겸임함), 판사(判事), 지사(知事), 동지사(同知事), 첨지사(僉        知事), 경력(經歷), 도사(都事).


2. 五衛都摠府(오위도총부)

업무: 오위의 통솔권을 가진 기관으로서 문종(文宗)때 삼군부(三軍府)를 개칭(改稱).

관원: 도총관(都摠管 정2품), 부총관(副摠管종2품), 경력(經歷), 도사(都事).


3. 兵曹(병조): 하관(夏官)이라고도 한다.

업무: 태조 원년에 창설되어 무관에 대한 인사문제, 군사(軍事)문제, 우편, 역(驛), 병기(兵器)등의 사무를 관장하며, 병관(兵官), 서전(西銓), 기성(騎省), 군부(軍簿, 軍部), 군적총부(軍籍總部)라고도 한다. 병조안에 무선사(武選司), 승여사(乘輿司), 무비사(武備司)가 있다. 병조는 지금 국방부(國防部)에 해당한다.

관원: 판서(判書정2품), 참판(參判종2품), 참의(參議당상 정3품), 정랑(正郞 정5품), 좌랑(佐郞정6품),


4. 五衛(오위)

의흥위(義興衛)는 중위(中衛), 용양위(龍쵃衛)는 좌위(左衛), 호분위(虎賁衛)는 우위(右衛), 충좌위(忠左衛)는 전위(前衛), 충무위(忠武衛)는 후위(後衛),

관원: 장(將), 상호군(上護軍), 대호군(大護軍), 호군(護軍), 부호군(副護軍), 사직(司直), 부사직(副司直), 사과(司果), 부장(部將), 부사과(副司果), 사정(司正), 부사정(副司正), 사맹(司猛), 부사맹(副司猛), 사용(司勇), 부사용(副司勇)


5. 訓鍊院(훈련원)

관원:지사(知事)=혹은 상사(相事), 도정(都正), 정(正), 부정(副正), 첨정(僉正), 판관(判官), 주부(主簿), 참군(參軍), 봉사(奉事).


6. 司僕寺(사복시)

업무: 가마와 말에 대한 행정을 맡은 기관으로서 승부(乘府), 태복(太僕)등으로 부른다.

관원: 정(正), 부정(副正), 첨정(僉正), 판관(判官), 주부(主簿)


7. 軍器寺(군기시): 태종 十四년에 군기감(軍器監)을 고친 이름으로서 병기에 대한 행 정을 맡은 관청, 

관원: 정(正), 부정(副正), 첨정(僉正), 별좌(別坐), 판관(判官), 별제(別提), 주부(主簿),   직장(直長),

봉사(奉事), 부봉사(副奉事), 참봉(參奉).


8: 典設司(전설사)

업무: 장막을 맡아 주관하는 관청인데 상사국(尙舍局), 사설서(司設署)라고도 한다.

관원: 수(守), 제검(提檢), 별좌(別坐), 별제(別提), 별검(別檢).


9. 宣傳官廳(선전관청) 

업무: 왕의 측근에서 항상 호위하고 명령을 전달하는 기관, 전부 선전관으로 구성되었는데 이 선전관 중에는 당상관(堂上官)과 참상관(參上官), 참하관(參下官), 그리고 문신겸관(文臣兼官)등이 있어서 그 품계는 正三품으로부터 從九까지의 선전관이 있음.

일명: 무승지(武承旨)


10. 世子翊衛司(세자익위사)

업무: 세자를 모시고 호위하는 관청인데 별칭은 솔갱시(率更寺), 계방(桂房)

관원: 좌익위(左翊衛), 우익위(右翊衛), 좌사어(左司禦), 우사어(右司禦),

     좌익찬(左翊?), 우익찬(右翊?), 좌위솔(左衛率), 우위솔(右衛率), 좌부솔(左副率),        우부솔(右副率), 좌시직(左侍直), 우시직(右侍直), 좌세마(左洗馬), 우세마(右洗馬).



조선조 外官職(외관직=지방관)


외관(外官) 즉 지방관서(地方官署)의 직위로서 각도(道=경기, 충청, 전라, 경상, 강원, 황해, 평안, 함경도등 八道를 말함)에 관찰사(觀察使=때에 따라 감사(監司)라고도 하였음) 1명과 도사(都事) 1명씩을 두었고 각 고을에 따라서 부윤(府尹), 목사(牧使), 대도호부사(大都護府使), 도호부사(都護府使), 군수(郡守), 현령(縣令), 현감(縣監)등의 수령(守令)을 두었으며 주요 도(道=길을 말함)의 역(驛)을 담당한 찰방(察訪) 또는 역승(驛丞)을 두었다. 그리고 각도와 부(府), 주(州)등 큰 고을에 교수(敎授), 훈도(訓導), 심약(審藥), 검률(檢律) 등 관직을 두었다.


從二品



각 도(道)의 관찰사(觀察使= 감사(監司)) 병마절도사. 수군절도사. 순찰사. 감영이 설치된 고을의 수령 겸임.


부윤(府尹):  경주(慶州), 전주(全州), 평양(平壤), 의주(義州), 함흥(咸興).

병마절제사(兵馬節制使) 겸임


正三品

대도호부사(大都護府使) 병마첨절제사(兵馬僉節制使)겸임

경상좌도: 안동(安東), 경상우도: 창원(昌原), 강원도: 강릉(江陵),

함경도: 영흥(永興), 평안도: 영변(寧邊)=영변은 병마절도사가 겸임.


목사(牧師) 병마첨절제사(兵馬僉節制使)겸임

경기도: 광주(廣州=광주목사에 한하여 종二품), 여주(驪州), 파주(坡州), 양주(楊州),

충청도: 충주(忠州), 청주(淸州), 공주(公州), 홍주(洪州),

경상도: 상주(尙州), 진주(晋州), 성주(星州),

전라도: 나주(羅州), 제주(濟州), 광주(光州), 능주(綾州),

황해도: 황주(黃州), 해주(海州),

강원도: 원주(原州),

평안도: 안주(安州), 정주(定州),

함경도: 길주(吉州).


從三品 

도호부사(都護府使)  병마첨절제사(兵馬僉節制使)겸임

경기도: 수원(水原), 부평(富平), 남양(南陽), 이천(利川), 인천(仁川), 장단(長湍),

       풍덕(豊德), 통진(通津), 교동(喬桐=교동은 수사(水使)가 겸임한다), 죽산(竹山),

충청도: 청풍(淸風),

경상도: 대구, 김해(金海), 영해(寧海), 밀양(密陽), 선산(善山), 청송(靑松), 함양(咸陽),   울산(蔚山),

     동래(東萊), 거제(巨濟), 거창(居昌), 하동(河東), 인동(仁同), 순흥(順興), 칠곡(漆谷),

전라도: 남원(南原), 장흥(長興), 순천(順天), 담양(潭陽), 여산(礪山), 장성(長城),

       무주(茂朱),

황해도: 연안(廷安), 평산(平山), 서흥(瑞興), 풍천(豊泉), 곡산(谷山),

       옹진(瓮津=수사가 겸임한다), 장연(長淵),

강원도: 회양(淮陽), 양양(襄陽), 춘천(春川), 철원(鐵原), 삼척(三陟), 영월(寧越),

함경도: 안변(安邊), 경성(鏡城=절도사가 겸임한다), 경원(慶源), 회령(會寧), 온성(穩 城), 경흥(慶興),    부령(富寧), 북청(北靑=절도사가 겸임한다), 덕원(德源), 정평 (定平), 갑산(甲山), 삼수(三水), 단천(端川), 명천(明川), 무산(茂山),

평안도: 강계(江界), 창성(昌城), 성천(成川), 삭주(朔州), 구성(龜城), 숙천(肅川), 중화 (中和), 자산(慈山), 선천(宣川), 철산(鐵山), 용천(龍川), 초산(楚山), 삼화(三和), 함종(咸從).




從四品

군수(郡守)  병마동첨절제사(兵馬同僉節制使)겸임

경기도: 양근(楊根), 안산(安山), 삭녕(朔寧), 안성(安城), 마전(麻田), 고양(高陽),

       김포(金浦), 교하(交河), 가평(加平).

충청도: 임천(林川), 단양(丹陽), 태안(泰安), 한산(韓山), 서천(舒川), 면천(沔川),

       천안(天安), 서산(瑞山), 괴산(槐山), 옥천(沃川), 온양(溫陽), 대흥(大興)

경상도: 합천(陜川), 초계(草溪), 청도(淸道), 영천(永川), 예천(醴泉), 영천(榮川: 영주),

       흥해(興海), 양산(梁山), 함안(咸安), 금산(金山), 풍기(豊基), 곤양(昆陽)

전라도: 보성(寶城), 익산(益山), 고부(古阜), 영암(寧岩), 영광(靈光), 진도(珍島),

        낙안(樂安), 순창(淳昌), 금산(錦山), 진산(珍山), 김제(金堤).

황해도: 봉산(鳳山), 안악(安岳), 재령(載寧), 수안(遂安), 백천(白川), 신천(信川),

        금천(金川).

강원도: 평해(平海), 통천(通(川), 정선(旌善), 고성(高城), 간성(杆城), 평창(平昌).

함경도: 문천(文川), 고원(高原).

평안도: 상원(祥原), 덕천(德川), 개천(价川), 가산(嘉山), 곽산(郭山), 순천(順天),

        희천(熙川), 벽동(碧潼), 운산(雲山), 박천(博川), 위원(渭原).


從四品: 서윤(庶尹): 평양(平壤)


從五品

현령(縣令) 병마절제도위(兵馬節制都尉) 겸임

경기도: 용인(龍仁), 진위(振威), 영평(永平), 양천(陽川)

충청도: 문의(文義)

경상도: 영덕(盈德), 경산(慶山), 고성(固城), 의성(義城), 남해(南海)

전라도: 창평(昌平), 용담(龍潭), 임피(臨陂), 만경(萬頃), 금구(金溝)

황해도: 신계(新溪), 문화(文化=우봉(牛峰)이라고도 하였음)

강원도: 금성(金城), 울진(蔚珍), 흡곡(흡谷)

평안도; 용강(龍岡), 영유(永柔), 증산(甑山), 삼등(三登), 순안(順安), 강서(江西)


從五品

판관(判官): 공주(公州), 대구(大丘), 전주(全州), 제주(濟州), 해주(海州), 원주(原州),

           함흥(咸興).


從五品: 도사(都事) 관찰사의 보좌관으로 각 감영에 배치


從六品

현감(縣監) 병마절제도위(兵馬節制都尉) 겸임

경기도: 지평(砥平), 포천(抱川), 적성(積城), 과천(果川), 금천(衿川), 연천(漣川),

        음죽(陰竹), 양성(陽城), 양지(陽智).

충청도: 홍산(鴻山), 제천(堤川), 덕산(德山), 평택(平澤), 직산(稷山), 회인(懷仁),

       정산(定山), 청양(靑陽), 연풍(延豊), 음성(陰城), 청안(淸安), 은진(恩津), 진잠 (鎭岑), 회덕(懷德), 연산(連山), 이성(尼城)=작산(作山)이라고도 하였음), 부여(扶餘), 석성(石城), 비인(庇仁), 남포(藍浦), 진천(鎭川), 결성(結城), 보령(保寧),  해미(海美), 당진(唐津), 신창(新昌), 예산(禮山), 목천(木川), 전의(全義), 연기(燕岐), 보은(報恩), 영천(永川), 영동(永同), 황간(黃澗), 청산(靑山), 아산(牙山)

경상도: 개령(開寧), 삼가(三嘉), 의령(宜寧), 하양(河陽), 용궁(龍宮), 봉화(奉化),

        청하(淸河), 언양(彦陽), 칠원(漆原), 진해(鎭海), 진보(眞寶), 문경(聞慶), 함창(咸昌), 지례(知禮), 안의(安義=안음(安陰)이라고도 하였음), 고령(高靈), 현풍 (玄風), 산청(山淸=산음(山陰)), 단성(丹城), 군위(軍威), 비안(比安), 의흥(義 興), 신녕(新寧), 예안(禮安), 연일(延日), 장기(長?), 영산(靈山), 창녕(昌寧),

        사천(泗川), 기장(機張), 웅천(熊川), 자인(慈仁), 영양(英陽)

전라도: 광양(光陽), 용안(龍安), 함열(咸悅), 부안(扶安), 함평(咸平), 강진(康津),

        옥과(玉果), 고산(高山), 자인(慈仁), 옥구(沃溝), 남평(南平), 흥덕(興德),

        정읍(井邑), 고창(高敞), 무장(茂長), 무안(務安), 구례(求禮), 곡성(谷城),

        운봉(雲峰), 임실(任實), 장수(長水), 진안(鎭安), 동복(同福), 화순(和順),

        흥양(興陽), 해남(海南), 대정(大靜), 정의(旌義), 진원(珍原), 삼계(森溪)

황해도 : 장연(長淵), 송화(松禾), 강령(康翎), 은율(殷栗), 토산(兎山), 강음(江陰)

강원도 : 평강(平康), 금화(金化), 낭천(狼川), 홍천(洪川), 양구(楊口), 인제(麟蹄),

         횡성(橫城), 안협(安峽)◇ [함경도] : 홍원(洪源), 이성(利城)

평안도 : 양덕(陽德), 맹산(孟山), 태천(泰川), 강동(江東), 은산(殷山)


從六品

찰방(察訪),  별도 본인이 편집한  찰방고 참조

교수(敎授) 부 이상 고을에 배치

從九品

참봉(參奉), 훈도(訓導), 각 군. 현에 배치

심약(審藥), 훈도석학(訓導釋學), 역승(驛丞), 검률역승(檢律驛丞), 도승(渡丞)  왜학훈도(倭學訓導), 검률(檢律), 심약검률(審藥檢律), 심약역승(審藥驛丞)

 


무관 외관직


병마절도사(兵馬節度使), 종2품.

경기도 

경상도: 좌도(좌병사). 우도(우병사)

함경도: 남도(남병사). 북도(북병사)

전라도.황해도. 강원도. 충청도. 평안도


방어사(防禦使) 종2품

경기도: 파주목사 겸임. (장단부사. 광주부윤. 수원부윤이 겸직하기도 하였다)

전라도: 제주목사 겸임.

강원도: 춘천부사 겸임. (철원부사가 겸직한 때도 있었다)

평안도: 강계부가 겸임(우방어사). 창성부사 겸임(좌방어사)

함경도: 길주목사 겸임. (성진첨사 겸임)


병마절제사(兵馬節制使)  정3품

경기도: 광주에 두었다

경상도: 경주부윤 겸직

전라도: 제주목사 겸직

평안도: 의주목사 겸임


병마우후(兵馬虞候) (종3품).

충청도 1員. 전라도 1員. 황해도 1員. 평안도 1員

경상도 2員(좌. 우도)

함경도 북도(정3품). 남도(종3품)

경기도와 강원도는 두지 않았다


병마평사(兵馬評事) 정6품

평안도와 함경북도(북평사)에만 문관(대과급제자 중 비변사에서 천거)으로 兵使를

보좌하게 하였다


수군통제사(水軍統制使) 종2품

경상도에만 설치


수군절도사(水軍節度使) 정3품

각도에 두었다. 강원도는 관찰사가 겸임하고 별도의 수군절도사는 두지 않았다

경기도는 수군통어사(水軍統御使 종2품)를 두고 수군절도사가 겸직하였다.

경상도와 함경도는 좌우와 남북에 두었다


수군절제사(水軍節制使) 종3품

위 수군절제사와 같다, 강원도는 두지 않았다.



참고


* 관찰사(觀察使). 종2품. 임기 2년. 겸직: 병마, 수군절도사.

  대구도호부사 겸직

  嘉善大夫慶尙道觀察使兼兵馬水軍節度使,廵察使,大丘都護府使

  가선대부경상도관찰사겸 병마수군절도사순찰사대구도호부사

  감사(監司), 도백(道伯), 도신(道臣), 방백(方伯), 관찰(觀察), 순찰(巡察).

  겸직 : 병마. 수군절도사순찰사 (감영이 있는 곳의 수령 겸직)

  감영 : 대구.   서울과의 거리는 6백 70리이다.

 * 도사(都事) :  종5품  보좌관. 일명: 아 감사(亞監使). 사법관(外臺).

 * 판관(判官) : 종5품 1명 감영이 있는 곳의 수령직 수행(달성판관)

 * 중군(中軍) : 정3품 1명 감사의 친병인 순영 속아병의 총지휘관.

    중군관속 : 기고관, 병방군관, 장무군관, 대솔군관, 통인, 군뇌.

 * 검율(檢律) : 종9품 1명 법률보좌관.

 * 심약(審藥) : 종9품 1명 전의감, 혜민서의 의원 중 선발.

 * 비장(裨將) : 일명 계청군관. 감사의 부관.

 * 6방色吏. 계서. 지인. 통인. 등의 인원수는 경감이 있었다.


* 병마절도사(兵馬節度使) 兵使 종2품 . 병마우후(종3품)

  좌병영: 울산.

  우병영. 진주.

* 수군통제사(水軍統制使) 통제사 종2품 경상우수사 겸직

  통제영: 고성(固城:현 통영)

* 좌수사: 慶尙左道水軍節度使 정3품 당상관

  좌수영: 동래.

* 감목관(監牧官) : 종6품. 진주· 울산· 동래 (목장관리)


0 감영(監營)

 * 관아(公廨)의 명칭

 선화당(宣化堂: 감영의 정청)  .징청각(澄淸閣 : 감사처소)

 응향당(凝香堂: 內衙). 재승당(制勝堂) 응수당(應酬堂: 中軍거처)

 관덕당(觀德堂: 별무사를 뽑기 위한 장소) 

 낙육재(樂育齋: 무사들의 거처) 덕애당(德愛堂: 비장(裨將)처소)

 영리청(營吏廳). 인리청(人吏廳) 재가청(在家廳). 기고청(旗鼓廳).

 장관청( 將官廳). 별무사청( 別武士廳 )


주) 영리(營吏) 조선 시대에, 감영·군영·수영에 속하여 있던 서리.

주) 인리(人吏) 향 서리.




 * 官職

 관찰사 겸 순무사 대구부사  도정 총괄. 임기 처음에는 1년

 뒤에 2년으로 바꾸었다.

 

 * 속관

계청군관(啓請軍官) 8員. 화사군관(畵師軍官)一員.

영리(營吏)六十五人. 마도(馬徒)十六人. 인리(人吏)一百九十四人.

지인(知印)一百十二人. 영노(營奴)一百十一名.비(婢)七十六口.

재가병방(在家兵房)二人. 군관(軍官)八十人.

별장(別將)五人.  아병천총(牙兵千摠) 三人. 파총(把摠)六人.

초관(哨官)四十一人. 기고관(旗鼓官)二人.지궁관(知彀官)二人.

기패관(旗牌官)一百四十一人. 작대파총(作隊把摠)一人. 초관(哨官)五人. 재가백총(在家百摠)六人. 작령군관(作領軍官)七百人.

을축년창설 무사좌우열(乙丑創設 別武士左右列)八百四十二人.

부훈도(部訓導)二十六人. 사령,보호,병(使令戶保竝)一百六十名.

군뇌화병병(軍牢火兵竝)五十五名. 

무부, 군뇌, 화병,병(巫夫軍牢火兵并)五百五十名.


주) 기패관(旗牌官): 군영에서 지방 출신 군사들의 훈련을 맡아보던 무관 벼슬.

20개월 또는 24개월 뒤에 육품관으로 진급하였다

주) 지인(知印): 통인. 수령(守令)의 잔심부름을 하던 구실아치. 이서(吏胥)나 공천(公賤) 출신이었다.


0 도사(都事) 문관 종5품, 관찰사 막부 보좌관.  임기 1년

 영리(營吏)七人. 마도(馬徒)四人.

 

0 중군(中軍) 무관 3품으로 관찰사의 군사 보좌관

 병방군관(兵房軍官)二人. 장무군관(掌務軍官)二人.

 대솔별장(帶率別將)一人. 출사군관(出使軍官)九十人.

  백총(百摠)三人. 작령군관(作領軍官)三百人. 군뇌(軍牢)三十名.

 *가산외성(架山外城)

  수첩군관(守堞別將)二人. 백총(百摠)十人. 출사군관(出使軍官)二十人. 작령군관(作領    軍官)九百三十八人. 성정초관(城丁哨官)十八人.

  초관(哨官)三人

 *가산내성(架山內城)

  천총(千摠)二人. 파총(把摠)四人. 기고관(旗鼓官)一人.

  지궁관(知彀官)二人. 기패관(旗牌官)二十九人.

  초관(哨官)二十人. 도훈도(都訓導)一人.

  작령군관(作領軍官)五百二十八人



0 심약(審藥)전의감 혜민서 의관가운데 예조에서 시험을 치루어

  합격한 사람 중에 파견하였다 임기는 15개월이다.

  典醫監 惠民署醫官禮曹試才入格中差遣十五朔交遞


0 검률(撿律) 형조의 율관중 예조에서 선발하여 파견. 임기는 15개월

  刑曹律官禮曹試才入格中差遣十五朔交遞 

 

* 군병(軍兵) 

  마군(馬軍)一千二百二名. 보군(步軍)三千七百六十八名.

  작대친병(作隊親兵)六百四十名. 기수군(旗手軍)一百名.

  당보군(塘報軍)三十名. 세악수(細樂手)四十名.

  각색복마군(各色卜馬軍)三百三名.각보색인(各色保人)三千一百四十名.각색화병(各      色火兵)五百五十八名.

  각색표하군(各色標下軍)七百四十三名.

  각색마정(各色馬丁)七十五名. 군기유황군(軍器硫黃軍)八百名


* 가산외성(架山外城)

  성정군(城丁軍)一千九百九十六名. 대포수(大砲手)五十名.

  모민작대(募民作隊)二百二十一名.

  유황군(硫黃軍)三百名. 군기하전(軍器下典)二十名.

  표하군(標下軍)六十名

* 가산내성(架山內城)

  아병(牙兵)二千四十名. 양여군(良餘軍)六百六十六名.

  기수군(旗手軍)一百五十四名. 군뇌(軍牢)二十名.

  화병(火兵)三百六十二名. 수솔(隨率)四十一名.

  표하군(標下軍) 二百八十名. 마정(馬丁)三十名.

* 가산진 架山鎭屬  관할  5 고을

  漆谷 軍威 義興 新寧 河陽 等五邑  칠곡. 군위. 의흥. 신령. 하양

  以上屬之監營 이상은 감영의 지휘를 받는다.


* 전영장前營將屬   관할 15고을.

  安東 寧海 靑松 順興 醴泉 豐基 榮川 義城 盈德 龍宮 禮安 奉化

  眞寶 英陽 化安 等十五邑

* 중영장 中營將屬    관할 9고을.

  大丘 密陽 仁同 淸道 慶山 靈山 玄風 昌寧 慈仁 等九邑

* 후영장 後營將屬   관할 8고을.

  慶州 蔚山 興海 永川 淸河 迎日 長鬐 彦陽 等八邑

以上三營將屬之 左兵使  이상 3영장은 좌병사 지휘를 받는다.


* 좌영장 左營將屬  관할 5고을.

  尙州 開寧 金山 知禮 咸昌 等五邑 상주. 개령. 금산. 지례. 함창.

* 별중영장 別中營將屬  관할 8고을.

  金海 昌原 漆原 咸安 固城 鎭海 巨濟 熊川 等八邑

  김해. 창원. 칠원. 함안. 고성. 진해. 거제. 웅천.

* 우영장 右營將屬 관할  14고을

  晉州 昆陽 泗川 南海 河東 丹城 山陰 咸陽 三嘉 安陰 居昌 陝川

  草溪 宜寧 等十四邑

  以上三營將屬之 右兵使  이상 3영장은 우병사의 지휘를 받는다.


* 동래진 東萊鎭屬    관할 3고을

  東萊 機張 梁山 等三邑 동래. 기장. 양산.

* 조령진 鳥嶺鎭屬    관할 2고을

  聞慶 咸昌 等二邑  문경. 함창.

* 금오진 金烏鎭屬   관할 4고을

  善山 開寧 金山 知禮 等四邑  선산. 개령. 금산. 지례.

* 독용진 秃用鎭屬   관할 2고을

  星州 高靈 等二邑 성주. 고령.


0 좌도병마절도영(左道兵馬節度營)


 0 관직(官職) 

 

* 병마절도사 무관 종2품. 임기는 1년, 뒤에는 2년.

 처음에는(1415년 태종15) 경주에 본영을 두고 경주부윤이 겸직하였 뒤에

 울주성(울산)으로 옮겼다.

 1426년 경상우도 창원 합포로 옮겼다가, 1437년(세종19)에 병마절도   사를 좌,   우도로 나누어 울산에 병영을 세우고 좌도 병사는

 울산도호부사가 겸하게하였다


兵馬節度使 本營永樂十三年乙未以前兵馬節制使兼慶州府尹

*永樂十五年丁酉移於同府東面 吐乙磨里其後又移於蔚州城

*宣德元年丙午合屬於右道昌原合浦內厢

*正統二年丁巳左道兵馬節度使營復立兼蔚州大都護府判府事

*萬曆二十七年己亥兵馬節度使兼蔚山都護府使

*萬曆四十五年丁巳因蔚山民情營自營府自府各服其役事巡察使狀 

啓據革罷判官復設虞候 

蔚山都護府使各設始此武二品開營於蔚山府內厢掌左道四十官陸路兵馬事二周年交遞




* 속관(屬官)

 대솔군관(帶率軍官)九員. 화사(畫師)一員. 영리(營吏)三十九人

 진무(鎭撫)八十四人. 마도(馬徒)五人. 知印二十一人. 營奴三十一名

 營婢三十名. 의생(醫生)一名. 土着別軍官兵房二人. 別軍官二百人.

 천총(千摠) 一人.파총(把摠)四人. 좌우령별장(左右領別將)二人.

 旗皷官四人. 知彀官四人. 哨官二十四人. 旗牌官一百人. 軍器監官二人

 都訓導五人. 敎師二十四人. 別旗手三十名. 使令四十四名. 軍牢五十名

 군뢰巫軍牢五十名. 弓矢人一百二十一名. 各色匠人二百四十五名.

 藥漢十五名. 城內民戶四百六十九戶.


* 우후(虞候) 무관 3품. 병마절도사 보과관겸 감독관 임기 2년

 * 속관

  행수군관(行首軍官) 一人. 병방군관(兵房軍官)二人.

  군관(軍官)二十七人. 배리(陪吏)一人. 지인(知印)一人및唱一名.

  사령(使令)二名. 군뢰(軍牢)二十名

* 심약(審藥) 전의감(典醫監) 혜민서(惠民署) 의관중 예조에서 선발하여 파견.

  임기 16개월.

 

0 軍兵 

 

* 주진(主鎭) 

좌령군관겸마대(右領軍官兼馬隊)二百九十八人. 別砲手兼作隊三百名.

主鎭軍兼作隊一千五百四十名. 親兵九百四名.

吏奴雜色作隊軍四百九十八名.燈籠軍四十名. 帳幕手一百名.

右領軍官馬丁七十名. 別軍官馬丁五十名.

旗牌官馬丁二百名. 


* 前營將.  在安東自營相距三百五十里

* 속해 있는 고을(屬邑)

 安東 寧海 靑松 順興 醴泉 豐基 榮川 義城 盈德 龍宮 禮安 奉化

 眞寶 英陽 比安以上 十五邑

 別將二人. 千摠三人. 把摠十人. 知彀官二人. 哨官五十九人.

 旗牌官一百四十九人. 營將標下軍五十六名. 將官標下軍七百七十九名.

 旗手軍八十六名. 吹皷手四十二名. 塘報軍七十三名.

 束伍馬軍七百二十五名. 步軍四千八百九十五名. 卜馬軍四百四十六名.

 火兵四百九十六名.


* 중영장(中營將) 대구에在大丘自營相距二百二十里

 * 屬邑



 大丘 密陽 仁同 淸道 慶山 靈山 玄風 昌寧 慈仁 以上九邑

 別將二人. 千摠三人. 把摠七人. 知彀官一人. 旗皷官一人.

 哨官五十人.

 旗牌官九十七人. 營將標下軍一百九名. 將官標下軍六百五十七名.

 旗手軍一百六名. 吹皷手三十七名. 塘報軍三十三名.

 束伍馬軍八百七十七名. 步軍三千八百三十名. 卜馬軍四百七名.

 火兵三百二十九名.


* 後營將  在慶州 自營相距七十里

 * 屬邑

   慶州 蔚山 興海 永川 淸河 迎日 長鬐 彦陽  以上八邑

別將二人. 千摠三人. 把摠七人. 旗皷官一人. 知彀官五人. 哨官四十七人.旗牌官九十七人. 營將摽下軍二百十二名. 將官標下軍五百五十五名.

旗手軍一百三十三名吹皷手六十名塘報軍七十三名束伍馬軍八百八十二名步軍三千五百六十名. 卜馬軍三百十五名. 火兵四百八十七名.


* 東萊鎭府使兼守城將 自營相距一百二十里

 * 屬邑

  東萊 梁山 機張   以上三邑

千摠一人. 把摠二人. 知彀官一人. 旗皷官一人. 哨官十一人.

旗牌官五十一人. 中軍標下軍十五名. 將官標下軍二百名.

旗手軍九十一名. 吹皷手三十七名. 束伍馬軍一百十七名.

步軍七百五十一名. 卜馬軍六十六名. 火兵七十六名


* 架山鎭 在柒谷 自營相距 二百七十里

 * 屬邑

  漆谷 義興 新寧 軍威 河陽  以上五邑

馬軍二百十名. 步軍一千四百六十二名. 軍兵專屬巡營


0 右道兵馬節度營

 

* 官職 

兵馬節度使 本營昔在昌原地而營基非城守之地故萬曆三十六年壬寅兵使 李蘋矗石地形圖盡狀 聞癸卯八月日兵使 李守一移營于晉州矗石山城仍兼晉州牧使矣崇禎八年癸亥區別營州別置牧使 武從二品開營晉州牧掌右道三十一邑陸路兵馬二周年交遞 置其屬裨將八人畫師軍官一人營吏三十人馬徒七名鎭撫二百九人知印三十六人使令二百三十八名軍牢三百名官奴三十四口婢三十六口吹打手一百名旗手軍二百名更點旅帥二十八名守城中軍一人城丁千摠一人把摠二人哨官十三人旗皷官二人知彀官三十人旗牌官十七人營屬作隊哨官一人旗牌官一人守堞兵房軍官一人軍官九百三十七人欄後別隊別將一人哨官六人旗牌官八人牙兵



千摠一人把摠一人哨官五人旗牌官五人別砲手哨官二人旗牌官二人親兵把摠一人哨官四人旗牌官 

五人旗手哨官二人別武兵房軍官一人軍官四百二十四人矗石山城僧將一人守直僧三十名弓人二十五名矢人二十名軍器監考一百名各色匠人三百一名 虞候 武從三品佐治兵馬二周年交遞 置其屬兵房軍官一人軍官七十九人軍器監官一人軍牢四十名陪吏知印使令官奴婢等別無置屬凡使喚諸人自本營隨時之送 審藥 典醫監 惠民署醫生禮曹試才入格中差遣二周年交遞 


* 軍兵 

 

本營親兵八百四十一名牙兵六百八十四名城丁軍一千四百四名別隊軍七百四名別砲手二百六十名管屬作隊軍一百四十五名主鎭軍四千二百名 左營將 尙州鎭 千摠四人把摠八人馬別將二人哨官三十九人旗牌官九十七人營將標下軍一百十名將官標下軍六百十六名旗手軍九十二名吹皷手五十八名塘報軍七十一名束伍馬軍三百四十九名步軍三千二百六十五名卜馬軍二百八十七名火兵三百二十一名屬邑尙州 開寧 金山 知禮 咸昌等五邑 別中營將 金海鎭 千摠二人把摠四人馬別將二人哨官三十人旗牌官五十三人營將標下軍五十五名將官堞下軍三百八十五名旗手軍九十二名吹皷手六十三名塘報軍九十七名束伍馬軍五百七十九名步軍二千一百四十一名卜馬軍二百三十名火兵二百九十七名屬邑金海 昌原 漆原 咸安 固城等五邑 右營將 晉州鎭 千摠三人把摠十三人馬別將一人哨官六十九人旗牌官一百三十九人營將標下軍一百三名將官標下軍八百五十一名旗手軍一百六名吹皷手四十二名塘報軍三十四名束伍馬軍四百六十六名步軍六千二百二十九名卜馬軍五百四十八名火兵五百九十四名屬邑晉州 泗川 昆陽 南海 河東 丹城 山陰 咸陽 安陰 居昌 陝川 草溪 宜寧 三嘉等十四邑 獨鎭 金烏山城鎭千摠三人把摠六人哨官二十五人旗牌官六十九人節制使標下軍五十九名將官標下軍四百五十八名旗手軍八十八名吹皷手五十名塘報軍二十五名束伍步軍二千三百五十名卜馬軍二百二名大兵二百八名屬邑善山 開寧 金山 知禮等四邑 獨鎭 秃用山城鎭千摠四人把摠八人守堞別將二人哨官四十一人旗牌官九十四入節制使標下軍三十六名將官標下軍七百六十二名旗手軍一百六名吹皷手四十四名步軍三千九百五十八名卜馬軍三百五十一名袱直五十四名火兵二百九十七名屬邑星州 高靈等二邑 獨鎭 矗石山城鎭守城中軍一人千摠一人把摠二人哨官十二人旗牌官四十七人將官標下軍一百七十名旗手軍五十八名吹皷手六十二名步軍一千二十名火兵九十名屬邑晉州一邑 獨鎭 鳥嶺山城鎭千摠一人把摠二人哨官九人旗牌官三十五人守城將標下軍四十名將官標下軍一百三十五名旗手軍六十八名吹皷手四十一名塘報軍二十九名步軍五百七十九名卜馬軍五十一名火兵五十一名屬邑聞慶 咸昌等二邑 上番軍 御營軍二千二百六十四名卜馬軍一百五十九名禁衛軍二千三百五十四名卜馬軍一百六十二名 


0 統制營


公廨 관청건물

* 세병관(洗兵館: 客舍) *운등당(運等堂: 衙舍) *읍취헌(挹翠軒: 別堂) *비장청(裨將

廳) 대변정(待變亭) * 선소(船所) * 決勝堂 虞候所居 衙舍 虞候衙舍 待變亭 虞候船所 閱武亭 在東門外試射所 制勝堂 在閑山島乾隆丙寅爲始風和六朔送虞候留防乾隆癸酉移防于見乃梁 留防 在固城界見乃梁自營東距二十里乾隆癸酉爲始風和六朔虞候留防 忠烈祠 在西門外忠武公 李舜臣春秋祭享 纛祠 在西門內春秋祭享于纛神 左廳 右廳 山城廳 城長廳 船將廳 知彀官廳 船將官廳 部官廳 軍器監官廳 左右把守廳 別武士廳 都訓導廳 營吏廳 鎭撫廳 知印廳 射夫廳 砲手廳 舟師火砲手廳 山城火砲手廳 醫生廳 使令廳 軍牢廳 巡令手廳 吹皷手廳 營奴廳 營婢廳 船庫直廳 沙工廳 等牌廳 戶首廳 耳匠廳 虞候將官廳 知彀官廳 武士廳 射夫廳 砲手廳 火砲手廳 軍牢廳 吹皷手廳 船庫直廳 沙工廳

 

통제사 

統制使 萬曆癸巳忠武公 李舜臣以全羅左水使 統慶尙全羅忠淸三道舟師進計倭寇於閑山島仍陞 除統制使統制之號始此而萬曆辛丑兼慶尙右水使武二品創設之初開營於巨濟 吾兒浦 右水營萬曆辛丑因體察使 李德馨狀 啓越三年甲辰移營于固城縣南五十里 頭龍浦 統三道之水路軍事二周年交遞 啓請軍官九人畫師軍官一人待變軍官一百四十人山城中軍一人千摠二人把摠四人雉摠六人親兵哨官十六人牙兵哨官三人旗牌官五十五人旗彀官二人都訓導六人火砲監官二人火砲手八十名城長二十八人城丁軍四百四十名標下卒三百十七名假倭軍七十五名親兵二千三十九名牙兵四百七名竝在外邑旗手二十名吹皷手三十名在營底彌勒寺僧將一人僧軍四十二名舟師捕盜將校十四人砲手把摠一人別武士兼假倭將二十九人東西部官二人左右把守別將二人陸軍器監官一人水軍器監官六人火砲監官七人標下哨官四人使令七十七名軍牢一百名巡令手六十名旗手二十七名吹皷手一百名船庫直六十九名沙工一百二十名 進上捉鰒軍十名造船耳匠十八名藥漢九名軍器硫磺軍六百名在外邑營吏三十人馬徒十人鎭撫一百十七人知印十三人營奴二十九名營婢十七口 虞候 初以右水營虞候萬曆辛丑仍爲統營虞候武三品佐治統制軍事二周年交遞兵房軍官一人軍器監官二人火砲監官二人捕盜將校二人別餉倉監官一人留防守直將一人待變軍官十九人都訓導兼標下哨官二人武士十一人軍牢三十名巡令手二十名旗手九名吹手二名吹皷手四十名船庫直十三名沙工三十六名 審藥 典醫監 惠民署醫生禮曹試才入格中差遣周年交遞 漢學 司譯院生徒禮曹試才入格中差遣二周年交遞


0 水軍 

 本營一戰船監官一人知彀官六人旗牌官八人都訓噵四人射夫二十名火砲手

三十名砲手二十四名舵工一名繚手一名椗手一名櫓軍一百二十一名兵船二隻船將各一人監官各一人射夫各十名火砲手各二名砲手各十名沙工各一名櫓軍各十四名伺候船六隻沙工各一名櫓軍合二十五名水軍一千一百名并保五百五十名武學二百四十名添格射夫二十四名差備軍一百名并保五十名把任軍四百名副船一隻船將一人旗牌官二人都訓噵二人射夫二十名火砲手二十名砲手二十四名舵工一名繚手一名椗手一名櫓軍一百十七名兵船一隻船將一人監官一人射夫十名火砲手二名砲手十名沙工一名櫓軍十四名伺候船二隻沙工各一名櫓軍各四名水軍八百名并保四百名武學二百四十名添格射夫二十四名左別船一隻船將一人旗牌官

二人都訓噵二人射夫十八名火砲手二十名砲手二十四名舵工一名繚手一名椗手一名櫓軍一

百十七名兵船一隻船將一人監官一人射夫十名火砲手二名砲手十名沙工一名櫓軍十四名伺候船二隻沙工各一名櫓軍各四名水軍八百名并保四百名武學二百十二名添格射夫二十四名右別船一隻船將一人旗牌官二人都訓噵二人射夫十八名火砲手二十名砲手二十四名舵工一名繚手一名椗手一名櫓軍一百十七名兵船一隻船將一人監官一人射夫十名火砲手二名砲手十名沙工一名櫓軍十四名伺候船二隻沙工各一名櫓軍各四名水軍八百名并保四百名武學二百十二名添格射夫二十四名龜船一隻船將一人旗牌官二人都訓噵二人射夫十八名火砲手二十名砲手二十四名舵工一名繚手一名椗手一名櫓軍一百十七名兵船一隻船將一人監官一人射夫十名火砲手二名砲手十名沙工一名櫓軍十四名伺候船二隻沙工各一名櫓軍各四名水軍六百名并保三百名武學二百十二名添格射夫二十四名左防牌船一隻船將一人旗牌官二人都訓噵二人射夫十名火砲手十四名砲手十名舵工一名繚手一名椗手一名櫓軍四十八名伺候船二隻沙工各一名櫓軍合七名水軍五百名并保二百五十名武學一百二十名添格射夫十二名右防牌船一隻船將一人旗牌官二人都訓噵二人射夫十名火砲手十四名砲手十名舵工一名繚手一名椗手一名櫓軍四十八名伺候船二隻沙工各一名橧軍各四名水軍五百名并保二百五十名武學一百二十名添格射夫十二名虞候戰船一隻知彀官二人旗牌官六人都訓噵二人射夫十八名火砲手二十名砲手二十四名舵工一名繚手一名椗手一名櫓軍一百十七名兵船一隻船將一人監官一人射夫十名火砲手二名砲手十名沙工一名櫓軍十四名伺候船二隻沙工各一名櫓軍各四名水軍八百名并保四百名武學二百十二名添格射夫二十四名 加德戰船二隻旗牌官各一人都訓噵各一人射夫各十八名火砲手各十名砲手各二十四名舵工各一名繚手各一名椗手各一名櫓軍各一百十五名兵船二隻船將各一人射夫各十名砲手各十名沙工各一名櫓軍各十四名伺候船四隻沙工各一名櫓軍各五名一船水軍八百三十名并保四百十五名二船水軍八百名并保四百名武學各二百三十六名 彌助項戰船一隻旗牌官一人都訓噵一人射夫十八名火砲手十名砲手二十四名舵工一名繚手一名椗手一名櫓軍一百二十九名兵船一隻船將一人射夫十名砲手十名沙工一名櫓軍十名伺候船二隻沙工各一名櫓軍各四名水軍八百三十名并保四百十五名武學二百三十六名 天城龜船一隻旗牌官一人都訓噵一人射夫十八名火砲手十名砲手二十四名舵工一名繚手一名椗手一名櫓軍一百二十名兵船一隻船將一人射夫十名砲手十名沙工一名櫓軍十四名伺候船二隻沙工各一名櫓軍各四名水軍八百名并保四百名武學二百三十六名 龜山戰船一隻旗牌官一人都訓噵一人射夫十八名火砲手十名砲手二十四名舵工二名繚手一名椗手一名櫓軍一百二十三名兵船一隻船將一人射夫十名砲手十名沙工一名櫓軍十一名伺候船二隻沙工各一名櫓軍各四名水軍八百名并保四百名武學二百三十六名 安骨浦龜船一隻旗牌官一人都訓噵一人射夫十八名火砲手十名砲手二十四名舵工一名繚手一名椗手一名櫓軍一百二十名兵船一隻船將一人射夫十名砲手十名沙工一名櫓軍十三名伺候船二隻沙工各一名櫓軍各四名水軍八百名并保四百名武學二百三十六名 薺浦龜船一隻旗牌官一人都訓噵一人射夫十八名火砲手十名砲手二十四名舵工一名繚手一名椗手一名櫓軍一百二十二名兵船一隻船將一人射夫十名砲手十名沙工一名櫓軍九名伺候船二隻沙工各一名櫓軍各四名水軍八百名并保四百名武學二百三十六名 玉浦龜船一隻旗牌官一人都訓噵一人射夫十八名火砲手十名砲手二十四名舵工一名繚手一名椗手一名櫓軍一百二十一名兵船一隻船將一人射夫十名砲手十名沙工一名櫓軍十三名伺候船二隻沙工各一名櫓軍各四名水軍八百名

并保四百名武學二百三十六名 助羅浦戰船一隻旗牌官一人都訓噵一人射夫十八名火砲手十名砲手二十四名舵工一名繚手一名椗手一名櫓軍一百二十名兵船一隻船將一人射夫十名砲

手十名沙工一名櫓軍十四名伺候船二隻沙工各一名櫓軍各四名水軍八百名并保四百名武學二百三十六名 知世浦龜船一隻旗牌官一人都訓噵一人射夫十八名火砲手十名砲手二十四名舵工一名繚手一名椗手一名櫓軍一百二十名兵船一隻船將一人射夫十名砲手十名沙工一名櫓軍十四名伺候船二隻沙工各一名櫓軍各四名水軍八百名并保四百名武學二百三十六名 加背梁龜船一隻旗牌官一人都訓噵一人射夫十八名火砲手十名砲手二十四名舵工一名繚手一名椗手一名櫓軍一百十九名兵船一隻船將一人射夫十名砲手十名沙工一名櫓軍十一名伺候船二隻沙工各一名櫓軍合九名水軍八百名并保四百名武學二百三十六名栗浦戰船一隻旗牌官一人都訓噵一人射夫十八名火砲手十名砲手二十四名舵工二名繚手一名椗手一名櫓軍一百二十名兵船一隻船將一人射夫十名砲手十名沙工一名櫓軍十一名伺候船二隻沙工各一名櫓軍合七名水軍八百名并保四百名武學二百三十六名 永登戰船一隻旗牌官一人都訓噵一人射夫十八名火砲手十名砲手二十四名舵工一名繚手一名椗手一名櫓軍一百二十二名兵船一隻船將一人射夫十名砲手十名沙工一名櫓軍九名伺候船二隻沙工各一名櫓軍各四名水軍八百名并保四百名武學二百三十六名 三千龜船一隻旗牌官一人都訓噵一人射夫十八名火砲手十名砲手二十四名舵工一名繚手一名椗手一名櫓軍一百二十名

兵船一隻船將一人射夫十名砲手十名沙工一名櫓軍十四名伺候船二隻沙工各一名櫓軍各四名水軍八百名并保四百名武學二百三十六名 唐浦戰船一隻旗牌官一人都訓噵一人射夫十八名火砲手十名砲手二十四名舵工二名繚手一名椗手一名櫓軍一百二十六名兵船一隻船將一人射夫十名砲手十名沙工一名櫓軍八名伺候船二隻沙工各一名櫓軍合七名水軍八百名并保四百名武學二百三十六名 蛇梁龜船一隻旗牌官一人都訓噵一人射夫十八名火砲手十名砲手二十四名舵工二名繚手二名椗手二名櫓軍一百十名兵船一隻船將一人射夫十名砲手十名沙工一名櫓軍十三名伺候船二隻沙工各一名櫓軍合十三名水軍八百名并保四百名武學二百三十六名 赤梁戰船一隻旗牌官一人都訓噵一人射夫十八名火砲手十名砲手二十四名舵工一名繚手一名椗手一名櫓軍一百二十名兵船一隻船將一人射夫十名砲手十名沙工一名櫓軍十四名伺候船二隻沙工各一名櫓軍各四名水軍八百名并保四百名武學二百三十六名 舊所非浦龜船一隻旗牌官一人都訓噵一人射夫十五名火砲手十名砲手二十四名舵工二名繚手二名碇手二名櫓軍一百二十名兵船一隻船將一人射夫十名砲手十名沙工一名櫓軍十三名伺候船二隻沙工各一名櫓軍合九名水軍三百二十名并保一百六十名武學二百二十四名募軍二百四十名南村戰船一隻旗牌官一人都訓噵一人射夫十五名火砲手十名砲手十九名舵工一名繚手一名椗手一名櫓軍一百二十名兵船一隻船將一人射夫十名砲手十名沙工一名櫓軍九名伺候船二隻沙工各一名櫓軍合十三名水軍三百二十名并保一百六十名武學二百二十四名募軍二百四十名新門戰船一隻旗牌官一人都訓噵一人射夫十八名火砲手十名砲手十九名舵工一名繚手一名椗手一名櫓軍一百二十名兵船一隻船將一人射夫十名砲手十名沙工一名櫓軍十二名伺候船二隻沙工各一名櫓軍各五名水軍三百二十名并保一百六十名武學二百二十四名募軍二百四十名晴川戰船一隻旗牌官一人都訓噵一人射夫十八名火砲手十名砲手十九名舵工一名繚手一名椗手一名櫓軍一百二十名兵船一隻船將一人射夫十名砲手十名沙工一名櫓軍十四名伺候船二隻沙工各一名櫓軍各四名水軍三百二十名并保一百六十名武學二百二十四名募軍二百四十名長木浦戰船一隻旗牌官一人都訓噵一人射夫十八名火砲手十名砲手二十四名

舵工一各繚手一名椗手一名櫓軍一百二十名兵船一隻船將一人射夫十名砲手十名沙工一名櫓軍十四名伺候船二隻沙工各一名櫓軍各四名水軍三百二十名并保一百六十名武學一百七

十六名募軍四百名平山浦龜船一隻旗牌官一人都訓噵一人射夫十八名火砲手十名砲手二十四名舵工一名繚手一名椗手一名櫓軍一百二十一名兵船一隻船將一人射夫十名砲手十名沙工一名櫓軍十名伺候船二隻沙工各一名櫓軍各四名水軍八百名并保四百名武學二百三十六名 固城戰船一隻代將一人旗牌官五人都訓噵一人射夫二十名火砲手十名砲手二十四名繚手一名椗手六名沙工一名櫓軍一百二十二名兵船一隻船將一人射夫十名砲手十名沙工一名櫓軍十二名伺候船二隻沙工各一名櫓軍各四名 晉州戰船二隻代將各一人旗牌官各五人都訓噵各一人射夫各二十名火砲手各十名砲手合五十八名舵工各一名繚手各一名椗手各一名櫓軍各一百十六名兵船二隻船將各一人射夫各十名砲手各十名沙工各一名櫓軍各十五名伺候船四隻沙工各一名櫓軍各七名 泗川龜船一隻代將一人旗牌官五人都訓噵一人射夫二十名火砲手十名砲手二十四名舵工一名繚手一名椗手一名櫓軍一百二十名兵船一隻船將一人射夫十名砲手十名沙工一名櫓軍九名伺候船二隻沙工各一名櫓軍各五名 河東戰船一隻代將一人旗牌官五人都訓噵一人射夫二十名火砲手十名砲手二十四名舵工一名繚手一名椗手一名櫓軍一百十六名兵船一隻船將一人射夫十名砲手十名沙工一名櫓軍十四名伺候船二隻沙工各一名櫓軍各六名 巨濟戰船二隻代將各一人旗牌官各五人都訓噵各一人射夫各二十名火砲手各十名砲手各二十四名舵工各八名椗手各二名櫓軍各一百二十名兵船二隻船將各一人射夫各十名砲手各十名沙工各一名櫓軍各十四名伺候船四隻沙工各一名櫓軍各四名 鎭海龜船一隻代將一人旗牌官五人都訓噵一人射夫二十三名火砲手十名砲手二十四名舵工四名繚手二名椗手一名櫓軍一百二十四名兵船一隻船將一人射夫十名砲手十名沙工一名櫓軍十一名伺候船二隻沙工各一名櫓軍各四名昆陽戰船一隻代將一人旗牌官五人都訓噵一人射夫二十名火砲手十名砲手二十四名舵工一名繚手一名椗手一名櫓軍一百十六名兵船一隻船將一人射夫十名砲手十名沙工一名櫓軍十四名伺候船二隻沙工各一名櫓軍合九名 南海戰船一隻代將一人旗牌官五人都訓噵一人射夫二十名火砲手十名砲手二十四名舵工二名繚手二名椗手一名櫓軍一百十六名兵船一隻船將一人射夫十名砲手十名沙工一名櫓軍十五名伺候船二隻沙工各一名櫓軍合十一名 昌原戰船一隻代將一人旗牌官五人都訓噵一人射夫二十名火砲手十名砲手二十四名舵工一名繚手一名椗手二名櫓軍一百十七名兵船一隻船將一人射夫十名砲手十名沙工一名櫓軍十一名伺候船二隻沙工各一名櫓軍合十一名熊川龜船一隻代將一人旗牌官五人都訓噵一人射夫二十名火砲手十名砲手二十四名舵工二名繚手一名椗手二名櫓軍一百十六名兵船一隻船將一人射夫十名砲手十名沙工一名櫓軍十一名伺候船二隻沙工各一名櫓軍各五名 金海戰船一隻代將一人旗牌官五人都訓噵一人射夫二十名火砲手十名砲手二十四名舵工一名繚手一名椗手一名櫓軍一百十名兵船一隻船將一人射夫十名砲手十名沙工一名櫓軍十四名伺候船二隻沙工各一名櫓軍合十八名 

 

 0 戰船 

 

 本營戰船二隻龜船一隻左右別船各一隻左右防牌船各一隻龜體無頭兵船六隻伺候船十八隻 虞候戰船一隻兵船一隻伺候船二隻 加德戰船二隻兵船二隻伺候船四隻 彌助項戰船一隻兵船一隻伺候船二隻 龜山戰船一隻兵船一隻伺候船二隻 助羅浦戰船一隻兵船一隻伺候船二

隻 栗浦戰船一隻兵船一隻伺候船二隻 永登戰船一隻兵船一隻伺候船二隻 唐浦戰船一隻兵船一隻伺候船隻 赤梁戰船一隻兵船一隻伺候船二隻南村戰船一隻兵船一隻伺候船二隻 新

門戰船一隻兵船一隻伺候船二隻 晴川戰船一隻兵船一隻伺候船二隻 長木浦戰船一隻兵船一隻伺候船二隻 天城龜船一隻兵船一隻伺候船二隻 安骨浦龜船一隻兵船一隻伺候船二隻 薺浦龜船一隻兵船一隻伺候船二隻 玉浦龜船一隻兵船一隻伺候船二隻 知世浦龜船一隻兵船一隻伺候船二隻 加背梁龜船一隻兵船一隻伺候船二隻 三千龜船一隻兵船一隻伺候船二隻 蛇梁龜船一隻兵船一隻伺候船二隻 舊所非浦龜船一隻兵船一隻伺候船二隻 平山浦龜船一隻兵船一隻伺候船二隻 晉州戰船二隻兵船二隻伺候船四隻 巨濟戰船二隻兵船二隻伺候船四隻 昌原戰船一隻兵船一隻伺候船二隻 金海戰船一隻兵船一隻伺候船二隻 河東戰船一隻兵船一隻伺候船二隻 固城戰船一隻兵船一隻伺候船二隻 昆陽戰船一隻兵船一隻伺候船二隻 南海戰船一隻兵船一隻伺候船二隻 鎭海龜船一隻兵船一隻伺候船二隻泗川龜船一隻兵船一隻伺候船二隻 熊川龜船一隻兵船一隻伺候船二隻 

 

0 水軍節度營

 

官職 

 水軍節度使 營之設不知在於何代而始營設於蔚山府 舊開雲浦移建東萊府亦不知何年而經南寇後崇禎乙亥移設於營距二十里戡蠻夷浦過十八年後順治壬辰還移舊基武正三品開營東萊府掌左一道之陸路水軍二周年交遞屬裨將九人兵房軍官一人畫師軍官一人把摠二人內一釜山僉使一多大僉使營吏三十人馬徒三名鎭撫一百十三人知印三十二名元定旗牌官十五人傳習旗牌官五十人都訓導六人待變軍官一百人營奴二十口營婢二十口使令二十八名軍牢二十九名土射夫一百三十二名砲手一百六名敎師二十名旗手軍一

百四十三名能櫓軍六百十六名 虞候 設置年紀與節度使同武正四品佐治水軍事二周年交遞兵房軍官一人旗皷官二人旗牌官六人待變軍官三十人鎭撫十二人知印七名使令六名軍牢四名旗手軍四十名 譯學 訓導一人別差一人自司譯院試才差遣而訓導三年交遞別差一年交遞 

 

0 水軍 

 本營一戰船監官一人知皷官六人旗牌官五人都訓導二人軍器監官一人射夫十八名敎師五名砲手二十四名舵工二名繚手二名手二名櫓軍一百五名偵探船一隻兵船二隻船將各一人射夫各十名砲手各十名舵工各一名櫓軍各十四名伺候船五隻舵工各一名櫓軍各四名水軍一千四十名武學二百十二名添格射夫二十四名三戰船將一人旗牌官五人都訓導一人射夫十八名敎師五名砲手二十四名舵工二名繚手二名手二名櫓軍一百十四名兵船一隻船將一人射夫十名砲手十名舵工一名櫓軍十四名伺候舡二隻舵工各一名櫓軍各四名水軍八百名武學二百十名添格射夫二十四名四戰船將一人旗牌官五人都訓導一人射夫十八名敎師五名砲手二十四名舵工二名繚手二名手二名櫓軍一百十四名兵船一隻船將一人射夫十名砲手十名舵工一名櫓軍十四名伺候船二隻舵工各一名櫓軍各四名水軍五百六十名武學二百十二名添格射夫二十四名虞候二戰船將一人旗牌官五人都訓導一人射夫十八名敎師五名砲手二十名舵工二名繚手二名手二名櫓軍一百十四名兵船一隻船將一人射夫十名砲手十名舵工一名櫓軍十四名伺

候船二隻舵工各一名櫓軍各四名水軍八百名武學二百十二名添格射夫二十四名釜山鎭一戰舡代將一人旗牌官五人都訓導一人軍器監官一人射夫十八名敎師五名砲手二十四名舵工二

名繚手二名手二名櫓軍一百十四名兵舡一隻舡將一人射夫十名砲手十名舵工一名櫓軍十四名伺候舡二隻舵工各一名櫓軍各四名水軍八百四十名武學二百十二名潻格射夫二十四名二戰舡代將一人旗牌官五人都訓導一人射夫十八名敎師五名砲手二十四名舵工二名繚手二名手二名櫓軍一百十四名兵舡一隻舡將一人射夫十名砲手十名舵工一名櫓軍十四名伺候舡二隻舵工各一名櫓軍各四名水軍八百名武學二百十二名添格射夫二十四名多大鎭一戰舡代將一人旗牌官五人都訓導一人軍器監官一人射夫十八名敎師五名砲手二十四名舵工二名繚手二名手二名櫓軍一百十四名兵舡一隻舡將一人射夫十砲名手十名舵工一名櫓軍十四名伺候舡二隻舵工各一名櫓軍各四名水軍八百名武學二百十二名添格射夫二十四名二戰舡代將一人旗牌官五人都訓導一人射夫十八名敎師五名砲手二十四名舵工二名繚手二名手二名櫓軍一百十四名兵舡一隻舡將一人射夫十名砲手十名舵工一名櫓軍十四名伺候舡二隻舵工各一名櫓軍各四名水軍八百名武學二百十二名添格射夫二十四名開雲浦一戰舡代將一人旗牌官五人都訓導一人軍器監官一人射夫十八名敎師五名砲手二十四名舵工二名繚手二名手二名櫓軍一百十四名兵舡一隻舡將一人射夫十名砲手十名舵工一名櫓軍十四名伺候舡二隻舵工各一名櫓軍各四名水軍八百名武學二百十二名添格射夫二十四名豆毛浦一戰舡代將一人旗牌五人人都訓導一人軍器監官一人射夫十八名敎師五名砲手二十四名舵工二名繚手二名手二名櫓軍一百十四名兵舡一隻舡將一人射夫十名砲手十名舵工一名櫓軍十四名伺候舡二隻舵工各一名櫓軍各四名水軍八百名武學二百十二名添格射夫二十四名西平浦一戰舡代將一人旗牌官五人都訓導一人軍器監官一人射夫十八名敎師五名砲手二十四名舵工二名繚手二名手二名櫓軍一百十四名兵舡一隻舡將一人射夫十名砲手十名舵工一名櫓軍十四名伺候舡二隻舵工各一名櫓軍各四名水軍八百名武學二百十二名添格射夫二十四名西生鎭一戰舡代將一人旗牌官五人都訓導一人軍器監官一人射夫十八名敎師 五名砲手二十四名舵工二名繚手二名●手二名櫓軍一百十四名兵舡一隻舡將一人射夫十名砲手十名舵工一名櫓軍十四名伺候舡二隻舵工各一名櫓軍各四名水軍八百名武學二百十二名添格射夫二十四名包伊浦一戰舡代將一人旗牌官五人都訓導一人軍器監官一人射夫十八名敎師五名砲手二十四名舵工二名繚手二名●手二名櫓軍一百十四名兵舡一隻舡將一人射夫十名砲手十名舵工一名櫓軍十四名伺候舡二隻舵工各一名櫓軍各四名水軍八百名武學二百十二名添格射夫二十四名蔚山府一戰舡代將一人旗牌官七人都訓導一人軍器監官一人射夫二十名敎師十名砲手二十四名舵工二名繚手二名●手二名櫓軍一百十四名兵舡一隻舡將一人射夫十名砲手十名舵工一名櫓軍十四名伺候舡二隻舵工各一名櫓軍各四名機張縣一戰舡代將一人旗牌官七人都訓導一人軍器監官一人射夫二十名敎師十名砲手二十四名舵工二名繚手二名●手二名櫓軍一百十四名兵舡一隻舡將一人射夫十名砲手十名舵工一名櫓軍十四名伺候船二隻舵工各一名櫓軍各四名 

  

0 戰船 

 

 本營戰舡二隻龜船一隻偵探舡一隻龜體無頭兵舡四隻伺候船九隻 虞候戰舡一隻兵舡一隻伺候舡二隻 釜山鎭戰舡一隻龜舡一隻兵舡二隻伺候舡四隻 多大鎭戰舡一隻龜舡一隻兵舡

二隻伺候舡四隻 開雲浦戰舡一隻兵舡一隻伺候舡二隻 豆毛浦戰舡一隻兵舡一隻伺候舡二隻 西平浦戰舡一隻兵舡一隻伺候船二隻 西生鎭戰舡一隻兵舡一隻伺候船二隻 包伊浦龜舡

一隻兵舡一隻伺候舡二隻 蔚山府戰舡一隻兵舡一隻伺候舡二隻 機張縣戰舡一隻兵舡一隻伺候船二隻

 

 0 경상감영 方物  조정에 바치는 산물

 

* 正朝

 * 鐵甲二領 鐵坪頭具二頂 黑角弓三張 狄磨箭二部 片箭二部 桶兒二箇

  環刀一柄 代弓帒筒箇一部 短劍一柄 代弓帒筒箇一部 弓帒筒箇一部

  鳥銃一柄 三枝鎗一柄 代弓帒筒箇一部 要鈞鎗一柄 代弓帒筒箇一部

  長劍一柄 代弓帒筒箇一部 鐺把一柄代 弓帒筒箇一部

 * 虎皮一張 鹿皮一張 大紫石硯三面 中紫石硯二面 小紫石硯一面

  剪子五把 引導五柄 竹梳五十箇 梳省四十八枚 阿多箇二坐 代豹皮五張 * 端午

 六張付油席三番四張付 油席十三番二張付 油席十番二張付馬上油席八番   鞍籠二部笠帽二十八事 毛鞭九柄弓帽二部代二張付馬上油席一番箭帽二   部代二張付馬上油席一番竹方席五坐竹皮方席十一坐竹皮方席十坐代漆別   扇三百柄白貼扇四十柄油別扇二百六十柄漆別扇二百十柄漆貼扇三十柄

* 誕日

 鐵甲一領鐵坪頭具一頂黑角弓三張狄磨箭一部片箭二部桶兒二箇環刀一柄   代弓帒筒箇一部鳥銃一柄三枝鎗一柄代弓帒筒箇一部長劍一柄代弓帒筒箇   一部要鉤鎗一柄代弓帒筒箇一部弓帒筒箇一部獐皮一張鹿皮一張虎皮一張   代弓帒筒箇二部大紫石硯四面中紫石硯二面小紫石硯四面剪子三把竹梳一   百五十箇梳省四十八枚六張付油席三番四張付油席三番二張付油席四番

* 冬至

 鐵甲二領鐵坪頭具二頂黑角弓三張狄磨箭二部片箭二部桶兒二箇環刀一柄   代弓帒筒箇一部短劍一柄代弓帒筒箇一部鳥銃一柄要鉤鎗一柄代弓帒筒箇   一部弓帒筒箇一部阿多箇一坐代豹皮四張代弓帒筒箇十二部竹梳四十箇梳   省十九枚大紫石硯二面中紫石硯一面小紫石硯四面環刀一柄代弓帒筒箇一   部獐皮一張衫兒鹿皮一張豹皮一張剪子四杷 


0 경상감영 進貢 

* 正月

0早藿六十五貼單乾雉四十首貫目靑魚九十冬音乾杮子六十貼乾廣魚二十尾以上正朝物膳海衣十五貼貫目靑魚二十七冬音乾大口魚三十五尾生雉十三首以上朔膳 早藿五十四斤薦新靑大竹二十五本

* 二月

0 早藿十五斤單乾雉八首無鹽生鰒三百五十箇乾大口魚二十六尾以上朔膳雀舌八兩二戔生鰒四百十三箇以上薦新

0 藥材 乾地黃十五斤天南星三斤天門冬五斤柴胡五斤年膝三斤十兩續斷一斤貫象一斤狼毒八兩人蔘二斤八兩靑木香四兩白芍藥二斤八兩海藻一斤防風七斤八兩黃茋四斤山藥五斤白朮十二斤八兩䓀莄五斤赤茯苓五斤白茯苓五斤茯神二斤八兩熊膽三部牛黃十部麝香十部二

月令別卜定麥門冬五斤赤芍藥二斤八兩防風二斤膃朒臍四部白芍藥三斤白朮十五斤山藥六斤黃芩一斤榧子代紫草茸一斤八兩藁本二斤天南星五斤山茨菰二斤鱉甲十部牛膝二斤天門冬三斤熊膽一部牛黃五部兩西移定牛黃三部加定柴胡五斤防風三斤藁本四斤白礬三斤今加定淸蜜三斗山茱茰五斗鹿茸五臺胎水三升紫石英十兩別卜定淸蜜三斗靑大竹二十五本 

* 三月

0 乾錢魚十三尾乾大文魚十三尾以上朔膳蕨菜

0 藥材 石榴根皮一斤斑猫五兩蜥蝪十二箇赤箭一斤八兩靑大竹二十五本

* 四月

0 蔈古二斤八兩 乾黃魚二千六尾 以上 朔膳竹笋一百九十九本薦新

0 藥材 麥門冬十一斤 靑大竹二十五本

* 五月

0 全鰒三十貼 乾錢魚四十尾 乾小文魚九十尾 乾雉一百首 乾海蔘十一斗   蔈古六斤 以上 端午物膳粉藿十七斤八兩乾鰒短引三十五貼乾加兀魚十尾   以上朔膳大小麥米

0 藥材

 梅實五斤石葦六兩露蜂房一斤杏仁五斤蒲黃三斤八兩鹿茸三臺乾地黃二十   斤代烏梅十三斗三升三合六夕鹿茸二臺代麥門冬二斤靑大竹二十五本

* 六月

0 生竹笋二百二十五本 淸道都會所封 全鰒十八貼

0 安東都會所封 新稻米

0 藥材 鷄頭實一斤 知毋三斤代 白茯神三斤 射干三斤 松脂六斤

 牡蠣二斤 都李仁六斤

九月令 元卜定乾地黃代金銀花七斤靑大竹二十五本

* 七月

0 生銀魚四百尾乾海蔘十一斗五升以上朔膳胡桃三斗八升薦新

0 藥材 雲毋一斤蟬売十兩加卜定麻黃十五斤蟬売一斤麻黃五斤代麻黃根五    斤代茅香二十斤靑大竹二十五本

* 八月

0 裂乾紅蛤七斗五升朔膳

0 藥材 蓮子十五斤柴胡五斤續斷一斤貫象一斤狼毒八兩三稜二斤代蓮花藥    八兩防風七斤八兩黃茋四斤山藥五斤靑木香四兩䓀莄五斤胡椒四斤二兩    二月令別卜定白芨代蓮花藥十二兩今加定淸蜜三斗鹿茸三臺胎水三升別    卜定淸蜜三斗靑大竹二十五本

* 九月

0 早紅杮子四百十九箇 乾廣魚五十五尾以上朔膳 石榴八十二箇 薦新單

  乾雉五十首 乾大口魚七十尾 小鹽生鰒一 缸該一斗 乾大文魚二十五尾    以上 誕日物膳

0 藥材 栢子仁一斤 天南星三斤 續隨子一斤 枸杞子五斤 車前子五斤

 苽蔞實十兩 破古志十兩代白茯苓二斤 赤茯苓二斤 牛膝三斤十兩

 桅子六斤 山茱茰二十五斤 白芍藥二斤八兩 甘菊二斤 淸蜜五斗

 白朮十二斤八兩 皀莢五斤 山茨菰一斤八兩 當歸五斤 乾木果十斤代生木   果一百箇 人

 蔘五斤 白茯苓五斤 赤茯苓五斤 茯苓二斤八兩 牛黃十部

 熊膽二部 靑大竹二十五本

* 十月

0 乾小文魚七十五尾黃栗十一斗以上朔膽柚子八十八箇乾杮子十五貼以上 薦新

0 藥材 大棗五斗吳茱莄一斤杮蒂一斤五兩榧子三兩代紫草茸八兩水獺膽五部九月令別卜定麥門冬五斤槐實二斤代麥門冬三斤防風二斤白朮二十斤黃芩一斤藁本四斤牛膝三斤牛黃十部熊膽六部當歸七斤芎藭十斤五味子五斤白茯苓六斤赤茯苓六斤甘菊二斤茯神五斤生木果一百箇栢子仁二斤山茱茰二十斤柴胡十斤甘菊三斤代柴胡五斤人蔘三斤淸蜜四斗枸杞子五斤吳茱茰三斤皀萊二斤側栢葉四斤代茅香二十五斤皀角剌二斤天門冬五斤蓮子五斗烏梅五斤龜板五箇水獺膽一部䓀茰三斤槐實二斤麝香二部水獺膽六部代白朮七斤今加定麥門冬五斤防風二斤黃芩五斤赤芍藥四斤續隨子二斤苽蔞仁七斤柴胡五斤連翹五斤人蔘一斤靑大竹二十五本

* 十一月

0 生靑魚一百八十尾薦新生靑魚二十七冬音十尾朔膽乾杮子三十五貼柚子七十五箇生大文魚三尾以上朔膳乾杮子九十貼無鹽生鰒三百箇生大文魚三尾半乾大口魚五十五尾生大口魚六十尾以上冬至物膳天鵝十一首代生雉三十三首咸鏡 慶尙 全羅 忠淸輪回封 進靑大竹二十五本

* 十二月

0 生猪六口生鹿六口生獐十一口生兔七口生雉一百七十首以上臘內生大口魚三十九尾無鹽生鰒四百五十箇生諸一口以上朔膳

0 藥材 臘狐二口杮雪五斤九月令別卜定杮雪七斤靑大竹二十五本



* 안동대도호부(安東大都護府) . 新羅古都  左道.  

  * 서울과의 거리는  5백 14리 여정. 5일 반.

  * 동쪽으로 진보현(眞寶縣)의 경계까지 65리,

  * 청송부(靑松府)의 경계까지 66리,

  * 남쪽으로 의성현(義城縣)의 경계까지 44리,

  * 서쪽으로 예천군(醴泉郡)의 경계까지 54리,

  * 북쪽으로 영천군(榮川郡)의 경계까지 42리,

  * 예안현(禮安縣)의 경계까지 32리이며,

  * 대구감영(監營) :  2백10리. 여정. 2일.

  * 울산병영(兵營) :  3백60리, 여정. 3일 반.

  * 동래수영(水營) :  5백리.   여정. 5일.

  * 고성통제영    :  5백80리. 여정. 6일.


* 동ㆍ서의 상거(相距)는 115리이고 남ㆍ북의 상거는 250리이다.


0 異名: 길창(吉昌). 복주(福州). 지평(地平). 화산(花山). 창녕(昌寧).

        고장(古藏). 영가(永嘉). 일계(一界). 우릉(右陵).

        능라(陵羅). 고령(古寧). 고타야(古陀耶),

 0 진관

  도호부(都護府)가 2 영해(寧海)ㆍ청송(靑松) ㆍ

  군(郡)이 3 예천(醴泉)ㆍ영천(榮川)ㆍ풍기(豐基).

  현(縣)이 8 의성(義城)ㆍ봉화(奉化)ㆍ진보(眞寶)ㆍ군위(軍威)ㆍ비안(比安)ㆍ

  예안(禮 安)ㆍ영덕(盈德)ㆍ용궁(龍宮).

              

 * 안동부사의 공식 명칭: 안동대도호부사겸 안동진병마첨절제사.

  * 일명: 화백(花伯)

 * 안동판관, 종5품.  병마절제도위 겸직.

 * 안동교수, 종6품. 뒤에는 제독(5품)

  * 관속(官屬)

   * 유향(留鄕) 좌수(座首) 1인, 별감(別監) 3인.
   * 군관(軍官) 90인, * 아전(衙前) 234인, *지인(智印) 68인,

   * 사령(使令) 71명, * 관노(官奴) 108명, * 관비(官婢) 99구(口)

   * 관둔전(官屯田) 50결, 공수전(公須田) 15결

 * 무학제독(武學提督)

 * 영장(營將) 한 사람이다. 무신(武臣)으로 정삼품(正三品)이다.

   효종(孝宗)(1653)에 군관(軍官) 200명과 군뢰(軍牢) 30명을 두었다.

 * 안기찰방(安奇察訪) 참상 종6품(參上從六品)

   역리 1백32인. 지인 86인. 노 36명. 비 20구. 사령 20명.

0 관청건물(公廨) 

  객사(客舍: 성내에 있다) 도재당(道齊當; 도헌북쪽에 있다) 

  장관청(將官廳: 성 남문밖에 있다). 인리청(人吏廳: 동헌 남쪽에 있다)  

약원(藥院: 성 북문 밖에 있다)


0 을묘년 1735년(영조11)

원호 1만5천5백97호. 인구 66,929명.

남자: 26,261명. 여자: 40,668명.

己卯式元戶一萬五千五百九十七戶人口六萬六千九百二十九口內 男二萬六千二百六十一口女四萬六百六十八口




0 군병(軍兵: 군사) 

 訓鍊都監砲保一百八十七名御營正軍一百十一名資保一百十一名官保二百二十二名禁衛正軍五十九名資保五十九名官保一百二十七名兵曹騎兵七百十三名步兵六百八十七名禁軍保

一百五十七名袱直六名扈輦隊保七名京驛保七名補充隊余丁三名束伍軍馬軍二百四名保四百八名步軍一千七百十五名保一千七百十五名水軍九百十九名武學一百二十二名樂生一名保三名樂工七名保二十三名刻手保十六名烽軍六百名 


0 진공(進貢: 공물을 갖다 바침. 진상품)

 彩花席 別紋上席 黃龍紋席 滿花方席 小龍紋席 邊兒寢席 瓜龍紋席黃花   席 雜花席 中硯 小硯


0 토산

철(鐵)ㆍ인삼(人蔘)ㆍ은어[銀口魚]ㆍ잣[海松子]ㆍ설면(雪綿)ㆍ꿀(蜂蜜)ㆍ왕골[莞草]ㆍ적복령(赤茯苓)ㆍ신무애뱀[白花蛇], 자석(紫石) 독천(禿川)에서 나오는데, 벼루를 만들 수 있다. 송이[松蕈]ㆍ석이버섯[石蕈]ㆍ오미자(五味子)ㆍ지황(地黃).




















출처 : 의성김 원동파
글쓴이 : 낙민 원글보기
메모 :